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88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차동임(Cha Dong-Im) 서현아(Seo Hyun-A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107~1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영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을 위해 SPSS 26.0 & AMOS 26.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측정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그릿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성, 교수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s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종모형을 통해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그릿이 전문성을 완전매개로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그릿과 전문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ti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3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 Ulsan.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SPSS 26.0 & AMOS 26.0 were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look at the general tendenc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grit appeared the highest, followed by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Pearson's moment-rate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mong grit,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rit,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through the final model, it was found that grit affects teaching efficacy completely mediated by professionalism.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measures to increase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professionalism,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