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이용수 82
- 영문명
- Understanding the School Experience and Life Characteristics of Miso Alternative School Graduat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창수(Changsoo Hur)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349~3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년이 지난 한 대안학교 졸업생들의 기억으로부터 학교교육 이미지를 재현하고 그를 토대로 형성하고 지속한 삶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탐구하였다.
방법 한 대안학교가 20여 년간 운영한 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사례연구로서 한 대안학교를 섭외하고 졸업생을 추천받아 한 교사와 9명 졸업생을 대상으로 학교 경험과 현 삶의 기억 속에서 해당 학교가 가진 이미지와 지속성의 의미에서 기술, 분석, 해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이 가진 독특한 일상 그리고 삶의 자립, 함께 더불어 살 수 있는 공동체, 생태 순환을 추구하고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육과정이 운영되었으며, 현 보편성에 진입하려는 고등학교 학령시기의 어려움, 대학생활에서의 학업과 현실에 대한 갈등, 그리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사회 참여를 시도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결론 해당 대안학교가 수행했던 실험들은 졸업생들의 삶에 긍부정적으로 함께 공존했는데, 삶에 있어 주체성을 갖기 위한 노력, 현실의 벽을 극복하려는 자신만의 방식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 대안학교가 가진 교육과정은 특정 가치와 이념을 전달하는 또 다른 형태의 학교임을 이해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I aimed to represent the school curriculum image from the memories of graduates of an alternative school that has passed 20 years and analyze i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ir lives based on that image.
Methods As a qualitative research case study, in an alternative school, I selected one teacher and nine graduates as participants. I described,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school experiences and memories of current life from the teacher and graduates, focusing on the images and sustainability of the schooling in terms of meaning.
Results In the school curriculum the participants lived a unique daily life that pursued independence, aimed to being together in a community capable of ecological circulation, and purposed to hav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They faced challenges during the high school years when trying to enter mainstream society, experienced conflicts between academic life and reality during university, and attempted to live by participating in society in their own way.
Conclusions The experiments conducted by the specific alternative school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the lives of the graduates. In their lives, there were efforts to attain agency, and they were striving to find their own ways to overcome the barriers of reality. It became evident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alternative school under study was another form of school that conveyed specific values and ideolog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미소학교 교육과정 이해
Ⅳ. 졸업 후 삶
Ⅴ.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