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Exploring the Components of Digital Competences for Preschool-aged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차기주(Kijoo Ch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21세기 핵심역량으로 손꼽히는 디지털 역량의 구성요소를 밝히고자 한 선행연구는 많았으나, 유아를 위한 디지털 역량의 구성요소를 규명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유아 대상 디지털 역량의 하위 영역과 내용을 탐색⋅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 검색 및 스노우볼링 방식으로 수집한 디지털 역량 관련 문헌 33편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문헌 고찰에서 나타난 디지털 역량 하위 구성요소 간 중복성, 요소 간 범위의 적절성⋅포괄성⋅명료성, 대등성, 상호배타성 및 유아기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요소별 핵심 내용과 키워드를 중심으로 재분류⋅재명명하여 유아를 위한 디지털 역량 하위 구성요소의 내용을 최종⋅도출하였다. 결과 유아를 위한 디지털 역량의 하위 영역은 1) 디지털 미디어 작동 및 사용에 대한 이해, 2)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 창작 및 감상, 3) 디지털 주도성과 문제해결, 4) 디지털 정서지능, 5) 디지털 안전과 건강한 습관, 6) 디지털 소통과 참여의 6가지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하위 영역에 해당하는 역량의 내용을 기술하고, 이를 ‘지식, 기술, 태도, 가치’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에게 기대되는 디지털 역량은 기술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윤리적 측면의 다차원적 개념으로 교육과정 5개 영역에 걸쳐 통합적으로 함양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While many studies have explored the components of digital competence, essential in our 21st-century society, their primary focus has been on adults and students from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This leaves a noticeable research gap concerning digital competences for preschool-aged children. This study seeks to address that gap, aiming to identify and outline digital competence sub-domains and content appropriate for preschoolers. Methods For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33 studies sourced from databases, employing snowballing techniques. The digital competences of preschoolers were delineated by re-categorizing and renaming those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with a focus on essential content and keywords. This process also involved considering overlaps, appropriateness, comprehensiveness, equivalence, and exclusiveness among the titles and scopes of components,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Results As the results, six areas of digital competence for preschool children were identified: 1) Understanding of digital media operation and usage, 2) Digital media and content creation and appreciation, 3) Digital initiative and problem-solving, 4) Digital emotional intelligence, 5) Digital safety and healthy habits, and 6) Digita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detailed the components of each area under the facets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gital competences for preschool-aged children span technical, cognitive, socio-emotional, and ethical dimensions. As such, they should be holistically nurtured across the five learning areas of the national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이론적 배경: 디지털 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Ⅳ. 유아기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제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기주(Kijoo Cha). (2024).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8), 1-26

MLA

차기주(Kijoo Cha).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8(2024):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