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6
- 영문명
- The Impact Of Midlife Crisis and self-compassion on self-efficac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i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혜영(Yim, Hyeyoung) 조경숙(Cho, Gyeong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599~61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위기감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그릿 수준이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만 40세부터 64세에 해당하는 중년 성인들 329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과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대한 빈도 분석과 척도의 신뢰도 검증(Cronbach’α)을 하였다. 또한 주요변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 관계 파악을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이와 함께 중년기 위기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Model Number 4를 통해 파악하였고, 그릿의 조절효과는 Model Number 7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래핑 테스트(Bootstrapping-test) 방법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중년기 위기감과 자기자비, 자기효능감, 그릿의 각 변인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 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자비는 중년기 위기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중년기 위기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그릿의 수준이 조절하고 있음을 밝혔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기에 위기감을 겪는 경우, 자기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되어 새로운 목표가 생겨도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지만 스스로 무언가에 몰두하여 꾸준히 수행해나가는 노력을 하게 된다면 삶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일들에 도전하며 긍정적으로 노년을 준비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the level of grit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 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life crisis and self-efficacy.
Method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convenience sample of 329 middle-aged adults aged 40 to 64. We used SPSS 22.0 and Precess Macro 4.2 for the data analysis, and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 and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scale(Cronbach'α).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ey variable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life crisis and self-efficacy was identified through Process Macro Modle Number 4,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was verified using Model Number 7. Lastly, the bootstrapping test method was appii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and the adjusted mediation effect.
Results First, as a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of midlife crisis, self-compassion, self-efficacy, and gri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ll variables. Second, self-compass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life crisis and self-efficacy.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grit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life crisis and self-efficac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you experience a sense of crisis in middle age, your belief in your abilities is likely to decrease even if you have a new goal because you look at yourself critically, but if you devote yourself to sodevomething and make an effort to carry out steadily, you will develop the power to overcome the crisis of lifef, challenge new things, and prepare positively for old 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