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eacher Efficac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정오(Ryu Jung 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43~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 간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 파악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경청은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1 채택: β=.514, p<.001). 둘째, 공감은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2 채택: β=.473, p<.001). 셋째, 경청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3 채택: β=.496, p<.001). 넷째, 공감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4 채택: β=.530, p<.001). 다섯째, 자아존중감은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5 채택: β=.493, p<.001). 여섯째, 경청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6 채택: β=.357, p<.001). 일곱째, 공감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7 채택: β=.294, p<.001). 그리고 경청, 공감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독립변수의 영향력은 경청이 공감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의 인과 관계와 영향력을 밝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원만한 교사-학생관계를 위해 경청⋅공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경청⋅공감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매개할 때 더욱더 원만한 교사-학생 관계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초등교사의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증진에 기여하고, 경청⋅공감 관련 연구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ssessing the influ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mediated by ‘self-esteem.’
Method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and causality between variables set in this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or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attentive liste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H1 adopted: B=.563, p<.001). Second, empat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H2 adopted: B=.452, p<.001). Third, attentive liste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steem (H3 adopted: B=.454, p<.001). Fourth, empat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steem (H4 adopted: B=.424, p<.001). Fifth,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H5 adopted: B=.590, p<.001). Sixth, attentive liste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mediated by self-esteem (H6 adopted: β=.357, p<.001). Seventh, empat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mediated by self-esteem (H7 adopted: β=.294, p<.001). In addition, in the relations of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with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self-esteem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addition, as for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attentive listening had a relatively greater impact than empathy.
Conclusions This study drew educational implications by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 and influence of several variables affecting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are needed for smooth teacher-student relation. Smoother teacher-student relations can be expected when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are mediated with positive self-esteem. Hopefull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help research related to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