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5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ren’s Aggression: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다혜(Dahye Im) 김춘경(Choo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433~44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관계적, 외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개인적 주요 요인을 선정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의 자녀 이해도 증진 및 효과적인 상담 개입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도덕적 이탈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구⋅경북에 위치한 5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684명을 대상으로 PCS-YSR, 관계적⋅외현적 공격성 척도, 도덕적 이탈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를 사용하여 측정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변인 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 도덕적 이탈은 서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반면, 정서조절능력은 다른 변인들과 서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아동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며 도덕적 이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아동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며 정서조절능력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도덕적 이탈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를 통해 아동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을 완화할 수 있는 측면에 대한 아동상담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arents' understanding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to present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plans by selecting major environmental and personal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Methods The effect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ren's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was verifi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and emotion regulation. PCS-YSR,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scale, and emotion regulation scale were used for 684 students in 4th to 6th grades at 5 elementary school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using SPSS 23.0.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between variables.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and moral disengage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e other variables.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s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and moral disengagement is partially mediated.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s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is partially mediated.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s and mothers on children's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was confi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and emotion regulation was verified. These findings can provide basic data for child counseling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can alleviate children's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