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이용수 174
- 영문명
-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 for Quotation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Logic-Semantics Relationship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혜경(Yoon Hye Gy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615~6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글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의 논리-의미 유형(logico-semantic types)을 반영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을 새롭게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인용절은 체계기능언어학의 논리-의미 관계에서 투사절로 설명된다. 투사는 투사 수준(생각, 발언), 투사 방식(종속, 병렬), 발화기능(명제, 제안)의 세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이러한 투사의 관점을 인용절의 교육 내용에 반영하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 첫째, 본고는 인용하는 언어적 내용에 따라 발언 인용, 생각 인용, 사실 인용으로 구분하였으며, 인용의 출처 또한, 화자, 청자, 제3 자 및 매체 등 다양한 출처를 다룰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둘째, 간접인용 표현뿐만 아니라 직접인용의 교육 내용도 명시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간접인용 표현을 형태적으로 제시할 때는 ‘고’를 조사로 간주하는 관점이 효과적임을 기술했다. 이는 ‘고’를 조사로 보아 처리하는 것이 인용의 내용이 분명히 드러나고, 명제나 제안의 발화기능을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인용절이라는 성격을 잘 나타내어 한국어 학습자가 접근하기 쉽기 때문이다. 셋째, 인용 동사는 인용 화자의 태도와 견해를 표현하기에 다양한 인용 동사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이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학습 단계별 인용 동사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이 동격 관형절의 구조도 익혀 인용 표현을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인용 표현 학습 시 인용 명사도 문법 항목으로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고에서 제안하는 체계기능언어학 기반의 인용절의 교육 내용은 학문 목적 학습자가 대학 입학 후 필요로 하는 인용 표현의 충분한 내용을 담을 수 있으며, 또한, 그 사용 능력을 기르는 데 유용하게 적용되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new educational content for quotation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reflecting the logic-semantic type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SFL).
Methods Quotation clauses are elucidated as projective clauses within the logic-semantic relationship of SFL. Projection is categorized based on three criteria: projection level (thought, locution), projection mode (parataxis, hypotaxis), and speech function (proposition, proposal). Reflecting these perspectives of projection in the educational content of quotations can improve existing problems observed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Results First, this paper distinguishes between locution quotation, thought quotation, and fact quotation based on the linguistic content being quoted, and indicates the need to address various sources of quotations such as speaker, listener, the third person and media. Second, it is emphasized that educational content should explicitly cover not only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but also direct quotation. Regarding the form of presenting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considering ‘고’ as a particle is effective. This is because regarding ‘고’ as a particle helps to clearly reveal the content of the quotation, explicitly indicate the speech function of propositions or proposals, and above all, because it well represents the nature of quotations, making it accessibl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ird,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designed to include various quotation verbs to allow learners to express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quoted speakers. To this end, this paper provides a list of quotation verbs for each learning level. Fourth, it is proposed that quotation nouns should be included as grammar items in quotation expression learning to enable learners to skillfully use quotation expressions by also mastering the structure of adjective clause.
Conclusions The SFL-based educational content on quotations proposed in this paper can contain sufficient content of quotation expressions required by academic learners after university admission, and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applied in cultivating their usage proficienc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한국어 교재에서의 인용절 교육 내용
Ⅳ. 체계기능언어학의 논리-의미 관계로 본 인용절
Ⅴ. 한국어 인용절 교육 내용 제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