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이용수 147
- 영문명
- Analysis of the Need for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and Importance of ES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영(Jo, Hye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27~4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ESG 현재 인식 수준 및 중요도 분석결과에 따른 교육 요구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 경기도, 인천) 지역 유치원 교사 202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엑셀 프로그램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IPA 분석을 통해 개선이 시급한 분야와 과잉분야를 알아보았다. ESG에 대한 현재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t검증하였고,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교육지원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최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IPA의 HH는 총 4개로 모두 S(사회)영역으로 나타났다. HL은 총 3개로 E(환경) 2개 영역, G(지배구조) 1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LL은 총 3개로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 각 1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LH는 총 4개로 E(환경)와 G(지배구조) 각 2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 항목에 대한 현재 인식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E(환경)영역의 ‘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재활용’, ‘유아교육기관 환경경영정책 실행’, ‘유아교육기관 환경성과 평가체계 구축’ 항목과 S(사회)영역의 ‘유아교육기관 구성원 고용안정 정책 수립 및 실행’, ‘유아교육기관 협력사 공정거래, 부패방지, 윤리경영 확보 방침 수립 및 실행’ 항목과 G(지배구조)영역의 ‘유아교육기관 홈페이지 경영활동 결과 공시’, ‘유아교육기관 부적절한 경영 승계 수단 방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현재 인식 수준에 비해 중요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의 우선순위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재활용’, ‘유아교육기관 부적절한 경영 승계 수단 방지’, ‘유아교육기관 환경경영정책 실행’, ‘유아교육기관 홈페이지 경영활동 결과 공시’, ‘유아교육기관 협력사 공정거래, 부패방지, 윤리경영 확보 방침 수립 및 실행’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결과, HH영역은 5개(‘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재활용’, ‘유아교육기관 환경경영정책 실행’, ‘유아교육기관 구성원 고용안정 정책 수립 및 실행’, ‘유아교육기관 협력사 공정거래, 부패방지, 윤리경영 확보 방침 수립 및 실행’, ‘유아교육기관 부적절한 경영 승계 수단 방지’) 항목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재활용’, ‘유아교육기관 환경경영정책 실행’, ‘유아교육기관 구성원 고용안정 정책 수립 및 실행’, ‘유아교육기관 구성원 안정성 정책 수립 및 실행’, ‘유아교육기관 협력사 공정거래, 부패방지, 윤리경영 확보방침 수립 및 실행’ 항목에서 공통적인 우선순위로 나타나 최우선순위 교육지원이 요구되는 결과이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ESG 실천을 통해 지속발전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켜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ESG 인식 개선을 위해 놀이중심으로 지원함으로써 생활 속에서부터 유아의 ESG 실천을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need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current awareness levels and perceived importance of ESG, utilizing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Methods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with 202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using SPSS 23.0 and Excel programs. Through IPA analysis, we identified areasin need ofimprovement and areasofexcess. We conducted a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of ESG. Additionally, we determined the top priority for educational support by comparing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in the IPA framework, HH was categorized into four areas, all of which fall under the “S” domain. HL comprised a total of three areas, with two falling under the “E” domain and one falling under the “G” domain. LL also had a total of three areas, with one falling under each of the “E”, “S”, and “G” domains. LH consisted of four areas, with two categorized under the “E” and “G” domains.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perception levels and importance of ESG item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 domain.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the items related to ‘waste recycl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S” domai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for the item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and implementation of policies for employee stability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and implementation of fair trade, anti-corruption, and ethical management policies for cooperation with suppliers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imilarly, in the “G” dom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items related to ‘public disclosure of management activities’ onthe websi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evention of inappropriate succession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se differencesindicatethat these items are perceiv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current level of awareness. According to the Borich Needs Assessment, the priority areas were ranked as follows:‘wasterecycl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prevention of inappropriate succession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public disclosure of the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swebsite, ‘and’ establishmentand implementation of fair trade, anti-corruption, and ethical management policies for cooperation with suppliers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HH domain consists of 5 items, including ‘waste recycl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olicies for employee stability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fair trade, anti-corruption, and ethical management policies for cooperation with suppliers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well as ‘prevention of inappropriate succession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urth, The results indicate a common priority for the followingite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