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2

영문명
Study on the Factors Which Inhibit the Teaching Practice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희진(Park heej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529~54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이 무엇인지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개념적 구조와 그 공감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초등교사 35명을 대상으로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대해 면담 및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수업실행 저해요인의 최종 진술문은 44개가 추출되었다. 이를 통계적으로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초등교사 970명을 대상으로 수업실행 저해요인으로 어떤 진술문에 공감하는지 평정하도록 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교사들은 수업실행 저해요인을 ‘직무 수행-관계 형성’ 차원과 ‘학교 내부-외부’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수업 실행 저해요인은 8개의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그 공감도는 ‘교육행정의 형식주의’, ‘학교 업무의 비효율성’, ‘교사-학부모 간 신뢰 부족’, ‘업무 처리의 효율성 부재’, ‘관리자의 리더십 부족’, ‘수업지원 부족’, ‘부정적 교직 문화’, ‘교사의 전문성 및 철학 부재’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증진하고,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ors which inhibit the teaching practices as they wer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hirty-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research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a concept map approach. From the interview, 44 key sentences were extracted as a final statement, and the concept mapping was complet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method. 97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answered the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s to check which statement could affect the teaching practices.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factors inhabiting the teaching practices in the “job performance-relationship formation” and “inside-outside the school” dimensions.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inhabiting factors in 8 clusters; “formalis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efficiency of school work,” “lack of trust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lack of efficiency in business processing,” “lack of administrators’ leadership,” “lack of teaching support,” “negative teaching culture,” and “lack of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philosophy” appeared in that order. Conclusions This study will help to identify ways to improve the teaching expertise by identifying the inhibiting factor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Ⅵ.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희진(Park heejin). (2024).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8), 529-549

MLA

박희진(Park heejin).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8(2024): 529-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