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1
- 영문명
- Th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 Journaling Program on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혜(Lee, Ji Hye) 김광수(Kim, Kwang Soo) 양곤성(Yang, Gon S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167~18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개별 대표강점에 초점을 맞춘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이 증진되는지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서울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 19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19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 7회기의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무처치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바탕으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검증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의 회기별 소감문, 프로그램 전체 평가, 강점일기 내용,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통계분석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설문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 분석 결과 학생들은 강점활용 일기쓰기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대표강점을 인식하였고, 점차 일상의 다양한 상황에서 대표강점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대표강점을 활용하여 긍정적 결과를 경험하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자신감을 얻게 되어 주관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대표강점 활용에 초점을 둔 성격강점 일기쓰기가 학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어려움 극복 및 예방과 안녕감 증진을 위해 아동의 내적 자원을 길러주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 strength journaling program on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Pretest of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given out for two different classes of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er’s class of 19 students was set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of 19 students was set as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aracter strength journaling program was applied over 7 sessions for 6 weeks, and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After program both groups were subjected to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post 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performed on the pre and post test. In addition to satisfaction of whole program and each session and observations of the researcher were analyzed to make up for the validity of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irst, the character strength journaling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gram satisfaction and researchers' observations, children explored and recognized their signature strengths and were gradually able to use them in various situations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 character strength journaling program.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subjective well-being and resilience were improved by experiencing positive results, recognizing themselves and those around them positively, and increasing confidence through utilizing signature strength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haracter strength journaling program which focuses on the utilizing signature strengths can be a effective intervention to develop internal resources of students to overcome, prevent various difficulties occurring at school and improve well-being of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