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 예술에서 응시와 여성의 주체
이용수 94
- 영문명
- A Study on the Gaze and Subjectivity of Women in Visual Art: Focused on Cindy Sherman and Caroline Walker’s Work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양화선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5권 4호, 321~33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여성 미술가들이 주목받고 있는 현 미술계의 맥락에서 두 여성 작가 신디 셔먼(1954~)과 캐롤라인 워커(Caroline Walker, 1982~)의 작품 속에 나타난 관음증적인 시선과 응시되는 주체를 분석하여 작품 속에서 여성 주체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1970년대말 이후 비평적 주목을 받아온 대표적 2세대 페미니즘 예술가 신디 셔먼의 작품과 포스트 페미니즘의영향을 받은 캐롤라인 워커가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계층의 여성들을 그려낸 작품을 분석하면서 향상된 여성과 여성 작가의 지위 이면에 아직까지 전통적인 여성상을 주목하고 여성의 주체성을 제시하였다. 덧붙여 워커의 작품 속에 등장한 인물들, 특히 눈에 보이지 않은 일을 수행하는 여성들, 여성 이민자들의 현실을 여성의 노동과 주체로 연결지어 연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status and role of women through the art works of two female artists, Cindy Sherman(1954~) and Caroline Walker(1982~). The works of both Sherman, a representative second-generation feminist artist who has received critical attention since the end of the 1970s, and Walker, who grew up under the influence of post-feminism, portray women who reveal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differences in modern society. Both artists focus on the traditional female image and gaze that still exists behind the status of women and female artists as well as the subjectivity of women. Walker goes on to explain how the characters in her works, particularly the reality of women performing invisible jobs and female immigrants, are related to women's labour and subjects.
목차
1. 서론
2. 응시의 개념과 사례화
3. 응시를 통해 본 여성 주체성 해석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와 융합 제45권 4호 표지
- 문화와 융합 제45권 4호 목차
- 전남 도서지역의 초등학교 교가에 표현된 오감의 경관 자원의 분포와 특성
-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의 분석 자동화 기술 동향
- 학습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의 관리전략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수업 사례연구에 대한 연구방법론적 경향
- 한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인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교육 발전의 특성과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
- 한국어 학술 논문에 나타나는 객관성 확보 전략 표현의 사용 양상 연구
-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외국인 대학생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메타버스를 활용한 의료·돌봄 통합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
- 대학 기초교양 교육과정에서의 SW·AI 관련 교과 현황 연구
- 생애담 연구에 있어서 주변 지인 목격담의 특징과 의의
- 남송(南宋) 시기의 소외 사문학(詞文學)
- K-드라마 팜 파탈 캐릭터의 원형성
- 성격강점의 극단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대학생의 미술치료 경험 내러티브 탐구
-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인문학 이미지 활용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입체조형을 통한 초등미술 교육의 확장
- 카뮈의 “이방인”에 등장하는 주인공 뫼르소의 탈신화화
- 존 케이지의 음악에 나타난 동양 철학 사상 연구
- 다단계판매자들의 내적 동기와 지속에 관한 연구
-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성별 및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학업수행능력 및 학업동기의 차이 분석
- 문화유산 태도, 사회자본, 참여활동, 문화유산 가치인식 간 인과관계 분석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영역 문항 개선 방안 연구
- 지적장애인의 대인관계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스네어 드럼 스트레이너의 변천 과정에 관한 고찰
- 근대 한국 주거문화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연구
- FPBL 플립프로젝트기반 학습의 패션스터디 교과과정 설계
- 영화 음악으로서의 기존 음악(pre-existing music) 연구
- D. H. 로렌스 교육론의 의의와 현재성
- 문화와 융합 제45권 4호 판권
- 문자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에 따른 학습자의 작문 양상 연구
- 메타버스 활용 블렌디드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 2020~2022년 국내 메타버스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대학 신입생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 만족도 사례 연구
- 대학 역량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사례 연구
- 예비교사의 프로젝트 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영화 <버닝>(2018)에 나타난 ‘감각’의 이행(移行)
- 외국인 선교사의 조선 경험 서사를 활용한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 시각 예술에서 응시와 여성의 주체
- 미술관과 전시의 정체성 일치가 미술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팬데믹 시기의 한국대중문화에 나타난 한국전통문화에 관한 연구
- BTS 콘텐츠에 함의된 성장의 의미 분석
- GIS를 활용한 한려해상국립공원 문화유산의 분포 분석
- 문화예술회관의 브랜드가 지역민의 만족과 애착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뉴 시니어를 위한 자세/체형 교정용 이너웨어의 잠재적 수요조사
- 중년여성의 우울증상 완화를 위한 핵심감정 표현 통합예술 치료 사례연구
- 알고 있는 표현항목의 텍스트 점유율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모형 개발 및 효과 연구
-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사용역 분석 연구
- 대학 신입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드랙 페르소나와 분장의 상관성 연구
- 부르디외의 장이론으로 본 NFT 아트의 가치 정립
- 언어의 한계와 인공지능(AI)을 통해 확장된 소통의 가능성
- 대학 전공능력 진단도구의 통합적 타당화 연구
- 음악기호학을 활용한 영화음악 분석
- M. 불가코프 드라마 <위선자들의 카발라>의 해빙기,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의 무대화 연구
- 북한이주여성들의 자기돌봄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전문가집단 FGI연구
- 초등학교 교과융합 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통합 교육과정 관점에서 본 가정 교과서 통합 사례 연구
- 조직 구성원들의 대인관계능력향상을 위한 비대면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중국 20대 여성들의 SNS 사교회피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
- 미용대학에서 집중이수제를 적용한 헤어실무 PBL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연구
- MZ세대의 헤어관리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감성지능 매개 효과 연구
- 청년공간에서의 시 창작 활동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국내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학술 및 과학기술 성과 분석에 대한 연구
- 가상 공간에서의 교회 모임에 대한 성서학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초·중·고등학생이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 멀티리터러시, 학업적 자기효능감,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
- 설치미술과 경험의 미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