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부장적 사회를 향한 불온한 목소리

이용수 49

영문명
A Study on Disquieting Voices towards a Patriarchal Society: Focusing on the Meaning of Family and Women in Lee Tae-jun’s Three Daughter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행미(Lee Haengmi)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5호, 441~45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이태준의 장편소설 딸 삼형제 를 세 자매의 가치관의 갈등과 대립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당대 가부장적 사회를 통렬하게 비판하는 여성의 목소리가 지닌 의미를 규명하였다. 이 소설은 작가가 이상적으로 창조한인물과 서사 전개에 따라 주제를 전달하는 인물이 사상적 간극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러한 특징은 동시대 다수 창작되었던 가족사소설의 형식을 변주하고, 당대 여성의 현실을 관찰하고 진단하면서 새로운 인물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것이다. 신문연재소설에서의 이와 같은 형식과 내용의 탐구는 대중성을 고려하면서도 예술로서의 가치를 포기하지 않으려 했던 작가의 노력의 산물이기도 하다. 새 시대 여성의 정신을 체현하는 정국이라는 인물은 작가가 창조한 인물임에도, 작가가 여성 인물을 통해 그리고자 했던 이상적 가치와 상충한다는 점에서 이채롭다. 정국은 모성의 신성성 및 결혼제도 등 가부장제의 산물 전반을 비판하면서, 가족을 구성하는 조건과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인물이다. 그런데 이러한 정국의급진적이고 불온한 목소리가 강조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결말에 이르러 인물의 사상과 행동은 구체성을 띠지 못한불충분한 재현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인물은 작가의 세계관을 상회하여 당대 현실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드러낸다. 이러한 여성 인물은 당대 여성과 가족 담론 속에서 진보적인 의미를 새기는 동시에 이태준 문학세계를 다른 각도에서 보게끔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clarifies the meaning of the voice of a woman who bitterly criticizes the patriarchal society of the time by analyzing Lee Tae-jun’s novel Three Daughters, focusing on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values of the three sisters. This novel is interesting in that an ideological gap appears between the character ideally created by the author and the character who conveys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narrative development. These characteristics were acquir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new characters while changing the format of many contemporary family novel and observing and diagnosing the reality of women at the time. Such exploration of form and content in a novel serialized in a newspaper is also a product of the artist's efforts to not give up its value as an art while considering its popularity. The character Jung-guk, who embodies the spirit of women in the new era, is unique in that it conflicts with the ideal value that the artist wanted to draw through female characters, even though she was created by the author. Jungkook is a person who criticizes the whole product of patriarchy, such as the sacredness of motherhood and the marriage system, and ask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conditions and values of the family. However, in contrast to the emphasis on the radical and disturbing voice of the political situation, the thought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s appear to be insufficient reproduction without specificity at the end. These characters exceed the artist's worldview and reveal a voice criticizing the reality of the time. These female characters engrave progressive meanings in the discourse of women and families of the time, while at the same time looking at Lee Tae-joon's literary worl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목차

1. 들어가며
2. 가족사소설의 변주와 가족 해체라는 전망
3. 새 시대 여성상의 조형과 가부장제 비판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행미(Lee Haengmi) . (2022).가부장적 사회를 향한 불온한 목소리. 문화와융합, 44 (5), 441-458

MLA

이행미(Lee Haengmi) . "가부장적 사회를 향한 불온한 목소리." 문화와융합, 44.5(2022): 441-4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