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언어로서의 문화재 안내 자료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이용수 116

영문명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ltural Heritage Guide Materials as Public Languag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ultural Heritage Guide in Andong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강소영(Kang Soyeo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5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거주 이민자의 관점에서 공공언어의 대표적인 유형이라 할 수 있는 문화재 안내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밝히고, 동시에 공공언어를 통해 문화재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재 안내 자료는 이민자에게 한국의 문화와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안내 자료이면서, 실제적인 교육 자료로서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문화재 안내 자료는 관광지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적 사실을전달하는 공공언어의 성격을 갖기도 한다. 이를 위해 이민자의 공공언어 소통을 위해 안동 지역을 대표적 문화재인 하회마을과 서원(병산서원, 도산서원), 만휴정에 대한 안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안내 자료는 실물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안내문과 안내 책자, 그리고 영상으로 제작된 콘텐츠 자료를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문제점 분석은 이민자의 관점에서 정확성과 소통성에 준하여 어문규정의 수준, 어휘 수준, 정보 수준, 문화 수준에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정확성 측면에서 어문규정에 대한 잘못된 표기가 많고, 어휘 등급도 고급 수준의 어휘가 많아 이해하는 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정보나 문화 수준에 있어서도 소통의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이민자를 사회 구성원으로 확대하여 공공언어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새롭게 해야 하며, 이들과 소통하고 상생하기 위해서 문화재 안내 자료 역시 정확성과 소통성의 측면에서 신중하게 검토하고 수준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ltural heritage guide data, which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type of public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immigrants living in Korea, to clarify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so that they can efficient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of cultural assets through public language. The cultural heritage guide material is a guide material for immigrants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values of Korea, and has useful value as an actual educational material. In particula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material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language that conveys Korean history and cultural facts at tourist attractions. To this end, data on Hahoe Village, Confucian academy(Seowon: Byeongsanseowon, Dosanseowon), and Manhyujeo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s of the Andong region to communicate the official language of foreign migrants. Information materials were used as research subjects for information, guidebooks, and video-produced content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real education materials. Problem analysis derived problems at the level of language regulation, vocabulary level, information level, and culture level based on accuracy and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mmigra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erms of accuracy, there are many misrepresentations of the language regulations, and vocabulary grades are also difficult to understand due to the high-level vocabular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lso a problem with the degree of communication in the level of information and culture. In the future, the direction of public language should be renewed by expanding immigrants to members of society, and in order to communicate and coexist with them, cultural heritage guidance material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in terms of accuracy and communication and continuously improved.

목차

1. 들어가며
2. 공공언어로서의 문화재 안내 자료
3. 문화재 안내 자료 내용 분석
4. 문화재 안내 자료 개선 방향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소영(Kang Soyeong) . (2022).공공언어로서의 문화재 안내 자료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문화와융합, 44 (5), 1-26

MLA

강소영(Kang Soyeong) . "공공언어로서의 문화재 안내 자료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문화와융합, 44.5(2022):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