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산범 창귀 이야기의 매체 전환과 그 의미

이용수 366

영문명
A Study on the Media Conversion of JangSanbeom and Changgwi Storie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최어진(Choe Ochi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5호, 385~40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장산범 창귀 이야기의 성격과 기능을 분석하고, 해당 이야기를 원천으로 삼아 웹툰, 대중가요등으로 매체 전환이 이루어진 사례를 통해 그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통해 장산범창귀 이야기가 지닌 원천서사로서의 가능성을 재탐색해보고자 했다. 창귀 이야기에 비추어 장산범 이야기를 보면, 두 이야기는 모두 어떤 소리를 내는 대상에게 주체가 속아 넘어갈지 모른다는 ‘가능성’을 다룬다는 점에서 상통한다. 즉 현재적인 위험이 아니라 미래적인 위협을 다루며, 이에 대해 대처할 능력을 차단하거나 마비시킨다는 점에서 ‘공포’보다는 ‘불안’을 유발한다. 여기에 더해 ‘호랑이 외형과그에 어울리지 않는 소리’를 낸다는 설정을 통해서 공포와는 구별되는 ‘으스스함’과 ‘불편함’을 일으킨다. 한편 창귀 이야기가 다루는 미래적인 위협은 ‘억울하게 죽을 수도 있다’는 1차적 위협, ‘내가 창귀가 될지도 모른다’는 2차적 위협이라는 중층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주체의 정체성 불안, 의미 없는 삶에 대한불안과 관련이 깊다. 한편 장산범 이야기에는 대상에 대한 혐오와 애착이 뒤섞여있으며, 목격자로서 주체를 미성숙한 존재로 규정하는 등의 특징을 보이는바 이야기를 향유하는 주체에게서 정체성 불안을 읽어낼 가능성이 다분하다. 요컨대 장산범 창귀 이야기는 기능적 소재적 유사성을 넘어, 그 안에 그칠 줄 모르는 주체의 정체성 불안과고통이 내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동질적이다. 이상과 같은 불안의 문제는 특정 시대에 한정되지 않는 것인 까닭에장산범 이야기와 창귀 이야기는 수 세기라는 시차를 초월하여 관련을 맺으면서 향유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는 앞으로도 이 두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원천서사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이 두 이야기는 2013년에 웹툰으로, 2021년에 대중가요로 나란히 재탄생되었다. 웹툰 <장산범>과 <창귀>는 원천서사의 기본 설정을 가져오되 본격적으로 호러 장르의 문법을 취해 형식과 내용을 변화시킴으로써 기존의 이야기가 지니는 의미를 강화 확장하고 있다. 대중가요 <장산범>과 <창귀>는 장산범과 창귀를 1인칭의 ‘서정적 자아’로 등장시켜 그들에게 직접 발화의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원천서사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는 차이를 보인다. 더불어 여성적 원귀를 상기시키거나 유희로서 유혹 행위를 그려내는 등의 방식으로 원천서사를 변용 변주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안하고 있다. 장산범 창귀 이야기, 이들로부터 매체 전환을 통해 탄생된 여러 콘텐츠들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functions of Jangsanbeom and Changgwi stories and reexamine the present value and meaning of these stories by focusing on the webtoons and pop songs made from the original narratives. Jangsanbeom and Changgwi stories are similar in that they depict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 may be deceived by an object making a certain soun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se two stories both contain the anxiety of the subject. For this reason, the Jangsanbeom story might have been form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Changgwi story although there exists a centuries of time gap between these stories. These two stories were recreated as webtoons in 2013 and pop songs in 2021. Webtoon Jangsanbeom and Changgwi, adopting the basic story settings of the original narratives, strengthened and expanded the meaning of each story by chang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especially following the grammar of the horror genre. Pop song Jangsanbeom and Changgwi fundamentally changed the original narratives by setting Jangsanbeom and Changgwi as poetic narrators. In this way, these contents tell us about underlying issues behind the depicted events or suggest a contemporary, completely new perspective, not directly addressed in the original narratives.

목차

1. 서론
2. 장산범 창귀 이야기의 특성과 기능
3. 매체 전환의 양상과 의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어진(Choe Ochin) . (2022).장산범 창귀 이야기의 매체 전환과 그 의미. 문화와융합, 44 (5), 385-406

MLA

최어진(Choe Ochin) . "장산범 창귀 이야기의 매체 전환과 그 의미." 문화와융합, 44.5(2022): 385-4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