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공-직무 일치 여부에 따른 핵심역량, 교육과정, 대학생활에 대한 차이분석

이용수 619

영문명
Analysis of Core Competency, Campus Lif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n Major-job Mismatch at the University Among Graduates: A MIMIC model approac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승아(Kwon, Seung-A) 김정현(Kim, Jeong-hyeon) 강지혜(KANG JIHY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4호, 579~60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졸업생 특성 및 전공과 직무의 일치 여부가 핵심역량, 대학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K대학을 졸업한 지 5년 이하인 졸업생 1,31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영향요인은 핵심역량, 대학 교육과정 만족도(전공교육과정 만족도,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교육여건, 대학시설, 학생지원)이며, 졸업생 특성은 성별과 학문계열은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MIMIC(Multiple-indicators Multiple-causes)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전공과 직무의 일치 여부는 핵심역량 수준과 전공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대학전공과 직무가 일치하는 졸업생의 경우 전공과 직무가 불일치한 졸업생에 비해 졸업 당시의 핵심역량, 전공교육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제변수인 성별과 학문계열은 교양교육과정 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과 직무의 불일치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학교육 차원에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education on major-job mismatch after graduating from the university. For this study, 1,341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K university for 5 years or less were used for the analysis. Specifically,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education were set to core competency, major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and university life (education conditions, university facilities, student support), and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analyzed by MIMIC (Multiple-indicators multiple-causes) model by setting the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 of graduates as control variabl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ro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university lif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major-job mismatch of graduates was influenced depending on the level of core competency,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level of core competency,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more major and job of graduates is likely to be congrue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es that can be realized at university education were presen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ajor-job mismat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승아(Kwon, Seung-A),김정현(Kim, Jeong-hyeon),강지혜(KANG JIHYE). (2021).전공-직무 일치 여부에 따른 핵심역량, 교육과정, 대학생활에 대한 차이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4), 579-601

MLA

권승아(Kwon, Seung-A),김정현(Kim, Jeong-hyeon),강지혜(KANG JIHYE). "전공-직무 일치 여부에 따른 핵심역량, 교육과정, 대학생활에 대한 차이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2021): 579-6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