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 사례 연구

이용수 139

영문명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of Seoul Dialect Aspira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지윤(JIYOON PARK)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1호, 749~76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의 정도성 차이를 실험을 통해 밝히고 그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기식음은(ph, th, ch, kh/로 이들 음가는 초성에서 유지되거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에서 연음되어 제 음가를 유지하여 강한 기식음을 실현한다. 그러나 이들 기식음이 모음 사이에서는 약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기식음에 대한 논의는 주로 음절화, 중화와 관련하여 이루어졌다.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에 대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다. 기식음이 모음 사이에서 약화되고, 그 정도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충분히 짐작할 만한 사실이지만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에 주목한 연구도, 그리고 그 정도성의 차이를 밝히고 원인을 규명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많은 언중들은 실생활 발음에서 기식음을 모음 사이에서 약하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에 따른 구체적 현상으로는 어떠한 실현 양상이 있으며, 왜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원인을 밝히는 과정은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에 대해 사례 연구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기식음(kh/가 가장 강하게 일어나고, 다음으로(ph/,(th/,(ch/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식음(kh/와(ph/의 경우에는 모음간 약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 실현 양상이 무성음 [k]와 [p]가 아니라 유성음 [g]와 [b]로 실현된다. 이처럼 기식만 소실할 뿐만 아니라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도 일어나게 되는데 기식음에 대한 유성음화는 한국어 음운론에서 잘 일어나지 않던 현상이다. 그리고 기식음(th/와(ch/의 모음간 약화는 [s], [th], [ch]로 실현된다. 기식음이 세 가지 형태 [s], [th], [ch] 중 두 가지 이상 혹은 세 가지 모두 공존하며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된 이유로 먼저, Sapir(1925)의 ‘심리적 실재’와 관련시켜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s/는 많은 논의를 통해 격음으로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s/를 격음으로 보아 기식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마지막 이유로는, 역사적 변화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는데, 다양한 예를 통해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은 역사적인 변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기식음 모음에서 간과되어 왔던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정도성의 차이를 밝히고 그에 대한 원인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weakening between vowels in Seoul dialect through experiments and to find out the cause. The breathing sounds in Korean are ph, th, ch, kh, and these are maintained with consonants or are articulated in formal forms beginning with vowels to maintain their original values and achieve strong breathing sounds. However, these breathing sounds are weakening between vowels. Discussions on breathing sound so far have mainly been conducted on syllabization and neutralization.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about the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of breathing sounds. Although it can be inferred that breathing sounds weaken between vowels, no study has focused on the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nor has there been any study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degree and determine the cause. In the real-life pronunciation of many words, breathing sounds tend to be weakly pronounced between vowels, but research is needed on that. In addition, the process of clarify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cause of such a phenomenon is meaningful. Since experiments are essential for this research, Seoul dialect is targeted. Therefore, let us look at the case studies on the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in Seoul dialect. The results show that breath sounds kh occur most strongly, followed by ph, th, and ch. In the case of breath sounds kh and ph, a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appears strongly, and voiceless sounds [g] and [b] are realized instead of [k] and [p]. In this way, breathing disappears and vocalization occurs between vowels, but vocalization does not occur very often in Korean phonology. Further, weakening between vowels of breathing sounds th and ch is realized as [s], [th], and [ch]. In many cases, breath sounds are maintained in coexistence with two or more of the three forms [s], [th], and [ch]. This phenomenon can first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Sapir(1925). In addition,(s/ can be considered a violent sound in many discussions, and in this study,(s/ is regarded as a very aggressive sound and is considered to be erosive. The last reason is seen as part of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but various examples show that the weakening of breath sounds between vowels is a historical change in progres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weakening between vowels of breathing sounds, which have been overlooked from vowels of breathing sounds until now, and in determining the caus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사례 조사
4.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원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윤(JIYOON PARK). (2021).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 사례 연구. 문화와융합, 43 (1), 749-763

MLA

박지윤(JIYOON PARK).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 사례 연구." 문화와융합, 43.1(2021): 749-7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