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세대 신여성의 이상과 좌절의 서사

이용수 220

영문명
Female Characters in Choi Jung-hee’s Novel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윤경(Kim, Yunky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1호, 503~52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최정희 소설에 드러난 모성회귀, 여성인물의 욕망의 추구와 갈등, 좌절의 서사가 동시대를 살아가던 신여성들의 현실적 삶의 조건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최정희의 해방 전 작품 중 모성회귀 서사가 두드러진 대표작 「인맥」과 「환영」을 통해 현모양처 담론이 강화되었던 1930-40년대 식민지 현실에서 욕망과 현실 사이에서 내적 충돌을 경험하고 있었던 지식인 여성의 내면을 분석하고, 「천맥」, 「지맥」, 「흉가」의 여성인물을 중심으로 1930~40년대 근대교육을 받은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경제적 곤란의 양상을 살펴본다. 최정희의 초기 소설에는 1930-40년대에 활동한 2세대 신여성의 경험과 자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이 시기의 대표작에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신여성의 낭만적 사랑, 섹슈얼리티의 추구와 좌절의 서사는 여성의 자기구성 욕망이 가부장적 사회에서 거부되어 현실에 순응함으로써 현모양처의 미덕을 내면화하는 좌절의 과정을 보여준다. 산업화된 도시는 여성의 성을 상품화하는 한편, 낭만적 사랑의 실현을 통한 자유연애를 성적 문란함과 도덕적 타락으로 이미지화함으로써 여성의 욕망은 통제담론의 대상이 되었다. 최정희 소설 「인맥(人脈)」, 「지맥(地脈)」,「천맥(天脈)」, 「환영(幻影)」 등은 근대적 여성주체로서의 의식을 부정할 수밖에 없는 여성의 현실을 그려냄으로써, 자신의 주체적 삶을 추구하고자 한 당대 지식인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현실문제와 내적 혼란을 보여준다. 그녀의 소설에 나타나는 이른바 “자궁의 슬픈 운명”이라는 운명론적 체념은 여성주체로서의 욕망을 끊임없이 부정당하는 현실적 고뇌를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ssue of identity in women’s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period , focusing on the novels by Choi Jung-Hee. As the Japanese militarist colonial rule strengthened in the 1930s and 40s, women’s education focused on producing “mothers who could nurture new leaders of the empire.” Accordingly, female sexuality and uniqueness was frowned upon and even repressed. However, many female writers embraced the freethinking, individualist female consciousness popularized by the “new females” a generation earlier during the time when Choi Jung-Hee was actively writing. However, female scholars in the 1930s and 40s were forced to live in a reality that was alienated from this ideal. The increasing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this period required the increased participation of females in society. For economic reasons, females became more active in the public sphere and, as a result, were forced to adjust to patriarchic order and patriarchic way of thinking. Choi Jung-Hee’s novels present the concerns and conflicts facing female scholars during this period, especially the conflict between female sexuality and motherhood. Although most characters in Choi’s novels seem to give in to the expectations of motherhood, what we are actually witnessing is the image of “patriarchic femininity” being destroyed. This paper identifies how Choi’s unique “femininity” appears in her novel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nial female scholars’ view on real world issues and female consciousness.

목차

1. 서언 : 2세대 신여성의 세대적 특징
2. 낭만적 사랑의 이상과 좌절 : 「인맥」
3. 사회적 상승 욕구를 압도하는 생계의 문제 : 「지맥」, 「천맥」, 「흉가」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경(Kim, Yunkyung). (2021).2세대 신여성의 이상과 좌절의 서사. 문화와융합, 43 (1), 503-520

MLA

김윤경(Kim, Yunkyung). "2세대 신여성의 이상과 좌절의 서사." 문화와융합, 43.1(2021): 503-5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