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영역 분석

이용수 295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Culture Sections in the 3rd and 4th Grade English Textbooks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다빈(Jung, Dabin) 정은숙(Jeong, Eunsoo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4호, 651~67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9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세계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라는 초등 영어 교육의 목표를 고려, 초등 3, 4학년 영어 교과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분석 범위 및 기준 마련 등의 절차를 통해, 총 10권의 초등 영어 교과서(3학년 5권, 4학년 5권)를 1) 문화 유형, 2) 문화 배경, 3) 문화 교수·학습 활동 및 절차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문화 유형과 관련하여 행동 문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물질 문화, 정신 문화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문화 배경과 관련하여서는 비영어권 문화가 가장 빈번하게 제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영어권 문화, 한국 문화가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하나의 단일 문화를 제시하는 경우보다는 2개 이상의 문화 배경을 함께 제시한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셋째, 문화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는 교사의 제시나 설명과 함께 학생의 핵심 의사소통 표현 및 기능 연습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 학생들이 문화에 대해 스스로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는 활동들은 거의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지도 절차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Moran의 경험 학습 중심 지도 절차와 비교했을 때, Knowing About 단계는 잘 드러나 있으나, 그 외 Knowing How, Knowing Why, Knowing Oneself 단계는 지도 절차에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문화 교육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3rd and 4th grade English textbooks considering the goal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various world cultures.’ With the processes of examining previous studies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and developing analyzing criteria, ten English textbooks (five of the 3rd grade and five of the 4th grade)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cultural types, 2) cultural backgrounds, and 3)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procedu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cultural types revealed that behavioral culture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material and spiritual culture. Second, the analysis of cultural backgrounds showed that non-English culture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background, followed by English and Korean culture respectively. Also, rather than presenting a single cultural background, the majority of cultural sections presented more than two cultural backgrounds. Third, in the analysis of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eachers’ presentations and explanations of cultural aspects were the most occurring activities with students’ practicing of communicative functions and key expressions. However, there were few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explore and experience culture directly or indirectly. In addition, in terms of procedures, the study found that in comparison to Moran’s Experiential Learning Cycle, Knowing How, Knowing Why, and Knowing Oneself phases were not adequately incorporated into culture activities, whereas Knowing About phase was quite well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some suggestions for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in English classes were provi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다빈(Jung, Dabin),정은숙(Jeong, Eunsook). (2020).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4), 651-675

MLA

정다빈(Jung, Dabin),정은숙(Jeong, Eunsook).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2020): 651-6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