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저성취 고등학생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이용수 259

영문명
Development and Efficacy Validation of a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Under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지현(Ji-Hyun Lee) 김재철(Jae Chul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785~80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저성취 고등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행동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김창대 등(2011)의 프로그램 개발모형을 토대로 목표수립, 구성, 예비연구, 실시 및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총 10회기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연구 대상은 직전 모의고사에서 가장 못한 3과목의 평균이 7등급 이하인 학습저성취 학생을 A, B, C학교별로 각각 18명, 15명, 15명 총 48명을 모집하였다. 이들을 학교별로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16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인지신경심리 기반 학습 코칭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정보처리이론 기반의 학습코칭 프로그램을 처치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무 처치 집단이었다. 집단별로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는, 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행동량이었다. 집단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 및 Wilcoxon 부호순위 검증을 활용하였으며,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따른 효과 검증을 비교하기 위해 피험자별 변화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 및Mann-Whitney 검정을 활용하였다. 결과 학습저성취 고등학생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전체 및 하위 영역 척도들 전부에서사전 평균에 비해 사후 평균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비교 프로그램과의 차이 비교에서는 자기주도학습 능력 전체 및 하위 영역척도들 전부에서 본 프로그램이 비교 우위를 나타내었다. 학습행동량은 평일 자율학습시간, 휴일 자율학습시간 모두에서 사전 평균에 비해 사후 평균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비교 프로그램과의 비교에 있어서도 평일 자율학습시간, 휴일 자율학습시간 모두에서 비교우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가의 기초학력 보장정책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지원이 약화되고 있는 학습저성취 고등학생을 위해 학교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학습코칭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aching program aimed at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study behavior among under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following Kim Chang-Dae et al.'s (2011) program development model, four stages including goal setting, composition, preliminary research,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ere conducted to design a total of 10 sessions for the program.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ree schools, A, B, and C, with 18, 15, and 15 students respectively, who scored an average of 7 or below in the three worst subjects in the previous mock exam, totaling 48 students. These students were then divided into experimental, control, and comparative groups, each consisting of 16 students, and assigned wirelessl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learning coaching program based on cognitive neuropsychology,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a learning coaching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using a pre-post test design for the control group.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tudy behavior.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ch group, paired sample t-test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used, and to compare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Mann-Whitney tests were utilized. Results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oaching program for under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revealed that the post-mean scor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 all area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mean scores. In the comparison with the comparative program, the present program showed superiority in all asp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Study behavior, including weekday and weekend self-study time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pre-measures, and the program showed superiority in both aspects when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program. Conclus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proposing a structured coaching program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in schools for under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in light of the relative weakening of support under national basic education guarantee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현(Ji-Hyun Lee),김재철(Jae Chul Kim). (2024).학습저성취 고등학생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785-807

MLA

이지현(Ji-Hyun Lee),김재철(Jae Chul Kim). "학습저성취 고등학생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785-8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