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간호법 제정에 대한 인식

이용수 62

영문명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enactment of the Nursing Law: Q methodological approac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시은(Sieun Kim) 정가현(Gahyeon Jeong) 이다인(Dai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605~62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법 제정에 대한 인식의 구조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법 제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간호교육의 방향성 제시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Q 모집단 구성을 위해 간호대학생의 간호법 제정 인식에 대한 서면 면담 내용과 간호법 제정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Q 모집단을 구성하였고, 의미가 명확하지 않거나 중복되는 진술문을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총34개의 Q 표본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Q 표본 진술문을 45명의 간호대학생에게 9점 척도의 정규분포표에 강제 분류하는 Q 원리에의해 분류하도록 하였고, 최종 수집된 Q 분류 응답지는 숫자로 코딩하여 pc-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법 제정에 대한 인식 유형은 5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제 1유형은 ‘간호법 후속절차 걱정형’, 제 2유형은 ‘간호법의 간호전문성 보장 바램형’, 제 3유형은 ‘간호법 제정 어려움 인지형’, 제 4유형은 ‘간호법 원만한 해결 소망형’, 제 5유형은 ‘간호법 입법취지 확인형’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법 제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예비 간호사로서 간호법의 입법 취지와 내용에 관심을 갖고 명확한 인식을 돕는 간호교육의 방향성 제시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나아가, 향후 간호정책 활동의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and types of nursing students' nursing law enactment through a Q methodological approach,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rough this, an attempt was made to help nursing students understand the enactment of nursing laws correctl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Methods In order to construct the method Q population, a written interview contents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nursing law enactment and a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nursing law enactment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the Q population was constructed, and a total of 34 Q sample stat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ing statements with unclear or overlapping meanings. The Q sample statements were classified by the Q principle, which forced 45 nursing students to classify them in the normal distribution table on a 9-point scale, and the final collected Q classification responses were coded as numbers and analyz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ve types of perceptions of nursing students about the enactment of nursing laws were identified. The first type was ‘guaranteed follow-up procedures of nursing law’, the second type was ‘wanted to guarantee nursing expertise in nursing law’, the third type was ‘cognition type of difficulty in enacting nursing law’, the fourth type was ‘a smooth resolution wish type’, and the fifth type was ‘confirmation type of the purpose of legislation of nursing law’.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 basic data fo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that helps nursing students understand the enactment of nursing laws correctly, pays attention to the legislative purpose and content of nursing laws as a prospective nurse, and helps them recognize them clearly. Furthermore,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nursing policy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시은(Sieun Kim),정가현(Gahyeon Jeong),이다인(Dain Lee). (2024).간호대학생의 간호법 제정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605-620

MLA

김시은(Sieun Kim),정가현(Gahyeon Jeong),이다인(Dain Lee). "간호대학생의 간호법 제정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605-6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