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습자 특성에 따른 정의적 스캐폴딩 실행연구

이용수 67

영문명
Action Research on Affective Scaffolding Based on Students’ Characteristics of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하지은(Ji Eun Ha) 조희수(Heesu Jo) 정재삼(Jaesam Ch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305~3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개별적인 정의적 스캐폴딩 제공을 통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 참여도를 증진하고 연구자의 교육 실천을 개선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실행연구의 일반적 절차에 따라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 방안을 수립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매주 수업을 실행하며그에 따른 연구 참여자의 성찰을 바탕으로 개선안을 탐색하며 순환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A대학전공심화과정 빅데이터 경영과의 고급 IT활용 과목 수강생 9명과 연구자 2인이며,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축코딩한 내용을 바탕으로 패러다임 모형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학습자들은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한편 자기 확신 부족으로 과제 수행에 대한 부담과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지만, 행동적 참여와 인지적 참여를 하며 스스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였다. 그 과정에서 제공된 교수자의 개별적인 정의적 스캐폴딩을통해 학습자들은 자신감이 생기고 수행과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자신의 목표 달성이라는성취를 통해 만족감과 더불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고 해당 수업을 의미있는 시간으로 인식하였다. 결론 교수자의 학습자 특성에 따른 개별적인 정의적 스캐폴딩은 전공심화과정 학습자가 자기효능감과 학습 참여도를 높이고 향후진로 방향성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공심화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된 정의적 스캐폴딩의 효과를 탐색하는 실행연구를 확장하는 시작점이 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가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맞춤형교수 전략과 정의적 스캐폴딩 제공 전략을 도출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learners'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and to improve the researchers' educational practices by providing individual affective scaffolding according to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class was designed by recognizing the problem and establishing an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dures of action research.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9 students taking an advanced IT application course in the Big Data Management Department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2 resear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open-coded and axial-coded, and results were derived using a paradigm model. Results Learners had expectations of new experiences but on the other hand, had difficulty performing assignments due to a lack of self-confidence. However, They compensated for their shortcomings through behavioral and cognitive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the instructor's affective scaffolding provided, learners could gain confidence and develop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process. As a result, the learners' self-efficacy improved along with satisfaction through the achievement of their goals, and they recognized the class as a meaningful time.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or's individual affective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was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with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 increase their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gain confidence in their future career dire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expanding action research that explores the effects of individually provided affective scaffolding in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derive customized teaching strategies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affective scaffolding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지은(Ji Eun Ha),조희수(Heesu Jo),정재삼(Jaesam Chung). (2024).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습자 특성에 따른 정의적 스캐폴딩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305-326

MLA

하지은(Ji Eun Ha),조희수(Heesu Jo),정재삼(Jaesam Chung).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습자 특성에 따른 정의적 스캐폴딩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305-3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