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Using a Growth Mixture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기혜 김소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135~16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초등교원종단조사 1-3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소진을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성취감 박탈로 구분한 후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여 소진의 하위영역별로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각 잠재계층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 고갈에 대해서는 ‘고수준 증가집단’, ‘중간수준 증가집단’, ‘저수준 증가집단’으로 구분되었고, 비인간화 영역에 대해서는 ‘고수준증가-유지집단’, ‘중간수준 증가집단’, ‘저수준 증가집단’, 성취감 박탈에 대해서는 ‘고수준 유지집단’, ‘중간수준 증가집단’, ‘저수준 증가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교사의 정서적 고갈의 각 잠재집단에 해당할 승산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교직선택의 외재적 동기, 학생 수, 기초학력부진 학생 수, 상담/심리치료 필요한 학생 수, 교사의 교육관, 학생관, 직무만족도, 동료 교사협력 빈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비인간화 변화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직선택 내재적 동기, 재직 기간, 상담/심리치료 필요한 학생 수, 교사-교장 관계, 교육관, 학생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동료 교사협력 빈도였고, 교사의 성취감 박탈의 변화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직선택 내재적 동기, 교사-학생 관계, 미래 교육에 대한 관점, 교직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소진 문제 대응 과정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longitudinal analysis of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using data from the first to third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Longitudinal Study of Elementary Teachers. To this end, teacher burnout was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 growth mixture model (GMM) was appli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of change trajectories for each burnout dimension. Subsequentl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latent class.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or emotional exhaustion,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high-level increasing group', 'moderate-level increasing group', and 'low-level increasing group'. For depersonalization, the categories were 'high-level increasing-maintaining group', 'moderate-level increasing group', and 'low-level increasing group'. For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teachers were grouped into 'high-level maintaining group', 'moderate-level increasing group' and 'low-level increasing group'. Factors affecting the odds of belonging to each latent class of emotional exhaustion included gender, extrinsic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the number of students, the number of underperforming students, the number of students requiring counseling or psychological therapy, teachers' educational philosophy, views on students, job satisfaction, and the frequency of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s in depersonalization included intrinsic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number of students requiring counseling or psychological therapy, teacher-principal relationships, educational philosophy, views on students,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the frequency of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For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factors included intrinsic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spectives on future education, teaching-related beliefs,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addressing teacher burnout and offer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