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emotional challenges and coping strateg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정바울 김용우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337~3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 실습은 예비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 대한 적응력을 획득하는 중요한 프로그램이다. 지금까지 교육 실습 과정에서 예비 교사들이 겪는 다양한 도전과 어려움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있었지만, 감정적 차원에 주목하여 예비 교사들은 어떠한 종류의 어려움을 겪고, 이러한 어려움에 어떻게 대응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주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 교사의 정서적 어려움과 소진, 그리고 대응 전략에 주목한 Lindqvist(2019)의 관점을 이론적 분석 틀로 삼아, 근거 이론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여 예비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 교사들은 수업 계획과 운영 측면에서 감정적 어려움을 경험하였는데, 이는 교원양성기관과 학교 현장 간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둘째, 예비 교사들은 앞으로 겪게 될 업무, 통제가 어려운 학생, 학부모 민원, 임용시험 등에 대한 걱정으로 불안을 느꼈다.
다음으로, 감정적 어려움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대응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들은 혼자 버티기 등의 개인적인 전략을 구사하였다. 둘째, 예비 교사들은 학생과 상호작용하거나 경계를 설정하여 거리를 두며 대응하였다. 셋째, 예비 교사들은 동료 예비 교사 및 지도교사와 협력하거나 주변의 조언을 구하기도 하였다. 예비 교사들은 어려움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자기 발전과 성장의 기회로 여기기도 하였지만, 교육 실습을 중도에 포기하거나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하는 감정적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한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eaching practice is an important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to acquire adaptability to the educational field.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on the various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 teaching practice process,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emotional dimension and empirically examines what kinds of difficulties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how they respond to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used the perspective of Lindqvist, Weurlander, Wernerson, and Thornberg (2023) from Sweden, who focused on the emotional difficulties, burnout, and coping strategies of preservice teachers, as a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and utilized grounded theory as a research method. It examined 15 preservice teacher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emotional difficulties due to the larg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 training college and the teaching practice schools. Second, preservice teachers also felt anxious due to stress about the teacher training exam, work as a teacher, students who are difficult to control, and complaints from parents. Next, the pre-service teachers' strategies for coping with emotional difficult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used personal strategies such as holding on alone.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by interacting with students or setting boundaries to distance themselves.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cooperated with fellow teaching students and supervising teachers, and also sought advice from those around them.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difficulties, they were seen as opportunities for positive self-development and growth, but there was also a tendency to give up teaching practice in the middle or seek a new career path.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o support the emotion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분석 틀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