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in Operating Wee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정 김장회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309~33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의미와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밝혀 위(Wee)클래스 운영 현황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이 있는 고경력 전문상담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62개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10개의 주제와 4개의 범주를 확인하였다. 4개의 범주는 ‘전문상담교사로서 표류하는 학교 상담 현장 경험’, ‘위(Wee)클래스 체계의 구조적 한계’, ‘위(Wee)클래스 상담 지원과 체제의 장벽’,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개인적 성장 도모’로 나타났다. 이 범주에 속하는 10개의 주제는 ‘학교 구성원의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 ‘주위의 과도한 요구 및 경계 침해’, ‘모호한 역할과 업무 경계’, ‘프로그램과 매뉴얼 미비’, ‘전문상담 인력 부족’, ‘상담 환경과 예산 문제’, ‘열악한 처우개선 문제’, ‘상담 전문직 배치의 필요성 인식’, ‘전문성의 위기’, ‘개인적 성장’이며, 이러한 주제들은 효과적인 위(Wee)클래스 운영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볼 수 있다. 결과를 통해 위(Wee)클래스 운영에 관한 학술적 논의와 향후 연구 과제, 위(Wee)클래스 운영에 대한 함의 및 제안점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tial structure of field experience in the Wee class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experience in operating Wee class among those with a level 1 or higher counseling-related certifi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62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rough this, 10 topics and 4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four categories were ‘Experiences in the field of school counseling as a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Wee class system’, ‘Wee class counseling support and barriers of the system’, and ‘Promoting personal growth to maintain identity’. The 10 topics in this category are 'nega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school members', 'violation of excessive demands and boundaries around them', 'ambiguous roles and work boundaries', 'lack of programs and manuals', 'lack of professional counseling personnel', 'counseling environment and budget issues', 'improvement of poor treatment issue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professional placement', 'crisis of professionalism', and 'personal growth', and these topics can be seen as important tasks for effective Wee class operation. Through the results, academic discussions on Wee class operation, future research task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Wee class oper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의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