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enting and Their Teaching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조 이호준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359~38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 발달 관점에서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가치, 태도, 행동 측면의 교직 수행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의 1차년도(2021년)부터 3차년도(2023년)까지 3개 연도 자료를 이원고정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교직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통제한 뒤 자녀 여부, 자녀 수, 미취학 자녀 수와 교직 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 자녀가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수업의 비율, 교과통합으로 운영하는 수업의 비율이 높았다. 2) 자녀수가 1명 더 많아짐에 따라 평가결과 활용, 보수적 교육관,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아졌지만 개별화 지원 정도, 교사효능감은 낮아졌다. 3) 미취학 자녀수가 1명 더 늘어남에 따라 토의토론중심 수업, 수업교환공유, 학부모협력태도, 교수학습연수시간 등이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자녀를 키우는 교사가 자녀 양육과 교직 수행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부담감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자녀 양육과 교직 만족도 간의 긍정적 관련성은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시사한다. 이로써 가정-직장 갈등 가설과 가정 직장 강화 가설은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과 교직 수행 간의 관계, 더 나아가 교직사회를 설명하는 틀로서 나름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enting on their profess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values, attitudes, and behaviors through an analysis of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2021–2023). Using a fixed-effects model to control for unobservable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ity traits, the findings reveal that teaching performance (e.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differs significantly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eachers have. Teachers with children demonstrated higher engagement in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integrated subject teaching, whil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was associated with lower teacher efficacy and individualized support but higher utilization of assessment results, conservative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overall satisfaction. Conversel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eschool-aged children reduced engagement in discussion-based teaching, lesson sharing, parental cooperation, and instructional time. These results highlight both the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phenomena, suggesting that teachers' parenting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ir professional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