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Teacher Collaboration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 Analysis by Collaboration Types and Career Stag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장나영 박소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491~52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저경력 교사와 중경력 교사의 유형별 교사협력 및 학생중심수업 수준과 차이를 분석하고, 유형별 교사협력 활동이 학생중심수업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 경력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 1차 연도~3차 연도 자료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이원고정효과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경력 교사가 교사협력 참여 수준이 저경력 교사보다 높았으며, 학생중심수업의 수준에는 경력 간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모두 유형별 교사협력과 학생중심수업 수준이 측정시점별로 유사하였다. 둘째, 저경력 교사와 중경력 교사의 유형별 교사협력 활동은 학생중심수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에서 공동교수활동의 효과가 가장 컸으며, 공동학습활동의 효과가 가장 작았다. 셋째, 교사협력의 학생중심수업 행동에 대한 효과는 중경력 교사에게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협력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효과를 개인과 시간의 영향을 통제함으로써 보다 엄정하게 분석하였으며, 교사협력 유형과 교사경력을 고려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중심수업에 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공동교수활동의 참여 증진 방안과 교사 발달 과정과 필요를 고려한 교사협력 참여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eacher collaboration and student-centered instruction between early-career and mid-career teachers, the effects of type-specific teacher collaboration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nd the interaction of these effects with teacher career stages. Using data from the 1st to 3rd waves of the ‘Korean Teacher Longitudinal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d two-way fixed effects models were employed. Results showed that first, mid-career teachers participated more in teacher collaboration, but no career-stage differences were found i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Both groups showed similar levels of teacher collaboration by type and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cross measurement time points. Second, co-teaching had the strongest positive impact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for both groups, while co-learning had the weakest. Third, th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was smaller for mid-career teachers.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o-teaching which showed the strongest effects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nd providing support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teacher collaboration by considering teachers’ developmental stages and nee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