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이용수 2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in Academic Graduate School: Researching Teacher, Teaching Researcher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평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23~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를 연구참여자로 하여 일반대학원 진학의 의미와 가치가 무엇인지, 연구자로서 성장하는 과정은 어떠한지 심층 면담, 참여 관찰, 현지 문헌 조사를 포함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는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로서 ‘현실 속에서 자신의 꿈을 좇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학문과 연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는 데 그 의미를 두고 있었다. 또한, ‘미지의 세계를 탐험’한다고 느끼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연구자로서 성장하기 위한 역량을 ‘차근차근 다듬어’ 왔으며, 교사-연구자로서 ‘낯설지만 익숙한 교육 현장’에서 ‘교육개혁의 주체’로 거듭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학술적 함의뿐만 아니라 교사교육 제도 개선에 대한 제언 및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지원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meaning and value of entering academic graduate school for millennials elementary teachers and the process of growing as a researcher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nt to graduate school to “follow her dream in reality” as a millennial elementary teacher, and its meaning was to solve her “thirst for learning and research” In addition, despite the uncertainty of feeling “exploring the unknown world”, she has developed the ability to grow as a researcher “step by step”, and as a teacher-researcher, she has reborn as a “main agent of educational reform” in an “unfamiliar but familiar educational fie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academic implications but also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and utilizing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to academic graduate school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