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ritical Review on Teacher Professionalism Discoursein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Docum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시은 염태근 소경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463~49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정책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 30편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이 교사에게 요구하는 전문성은 ‘다과목 공급 전문성’, ‘학업성취수준 관리 전문성’, ‘평가 다각화 전문성’, ‘진로·학업 연계 지도 전문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는 교사 외부에서 부여되는 프로그램이나 연수 과정에 교사들이 순응적이어야 한다는 담론이 강하게 형성되어 있었으며, 교사의 자발적이고 협력적 학습을 권장하는 담론은 일부 드러났다.
고교학점제 정책이 형성하는 이러한 교사 전문성 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첫째, 고교학점제 정책에서 교사는 적극적인 학습자 또는 지식 생산자이기보다는 정책과 관련하여 주어지는 교육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존재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둘째, 교사 전문성의 범위를 입시와 관련된 교실과 학교 차원으로 국한하여, 교사 전문성이 지닌 더 넓은 사회 변혁의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가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discourse on teacher professionalism within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To achieve this, the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30 policy documents related to the system.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licy constructs teacher professionalism around four key areas: teaching multiple subjects, manag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diversifying assessments, and guiding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planning. The discourse on teacher professionalism in these policy documents strongly emphasizes teacher compliance with government-operated training programs, while also providing some recognition of voluntary and collaborative teacher learning.
However, this policy-driven construc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it tends to position teachers as passive recipients of training rather than as active learners or knowledge producers. Second, by narrowly defining teacher professionalism within the context of classroom practices and college entrance exam preparation, the policy overlooks its broader potential as a force for soci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and highlights its significance.
목차
Ⅰ. 서론
Ⅱ. 교사 전문성에 관한 관점
Ⅲ. 연구 방법
Ⅳ.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가 요구하는 교사 전문성
Ⅴ. 고교학점제 정책 담론에 함의된 교사 전문성에 관한 관점
Ⅵ.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