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eacher Leadership in the Teaching Proces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Crisis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태훈 김병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223~2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학급 교사들이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에서 발휘하는 교사리더십의 모습과 특성을 밝힘으로써 위기학생 지도와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사들에게 필요한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코딩하고 범주화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리더십의 발휘모습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 발휘되는 교사리더십의 모습은 ‘반복 연습을 통한 습관화 지향’, ‘긍정적인 방법 적용’, ‘학생 감정 이해 노력’, ‘학부모와의 소통 노력’, ‘정책화·제도화 추진’으로 나타났으며, 발휘되는 교사리더십의 특성은 ‘학생을 돕는 사명 의식’,‘목표 달성을 위한 반복 성향’, ‘타인의 감정 이해 중시’, ‘학부모와 협력적 관계 중시’, ‘교사전문성 영역 확장’, ‘제도 개선의 주체 의식’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급 교사들이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지도하는 데에는 교사리더십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사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necessary support directions for teachers who are struggling with guidance for students in crisis by revealing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leadership that general class teachers exert in guidance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crisis students.
To this e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fiv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leadership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and categori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 leadership demonstrated in the process of guiding emotional and behavioral crisis students was “oriented habituation through repeated practice,” “applying positive methods,” “effort to understand students' emotions,” “effort to communicate with parents,” and “promoting policy and institutional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leadership demonstrated were “a sense of mission to help students,” “a tendency to repeat to achieve goals,” “a sense of understanding other people's emotions,” “a value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expanding the area of teacher expertise,” and “a sense of the subject of system improvement.”
Teacher leadership is necessary for general class teachers to guide emotional and behavioral crisis students, and policy support to develop such teacher leadership is urgently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과정
Ⅳ.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 발휘 모습
V.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 발휘 특성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