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eachers' Needs for Curriculum Continuit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박소민 김지혜 홍후조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437~46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 교육과정 연계성 강화를 위한 우선 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연계의 현재 수준과 필요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Borich 요구도 및 LF(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가 공통적으로 인식한 최우선 과제는 ‘연수 자료’와 ‘교원양성체제’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교급 간 교육과정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교수·학습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연수 자료’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인식하였다. 한편, 초등과 중등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현행 ‘교원양성체제’는 교사 간 협력을 저해하여 학생들의 학습 연속성을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외에도 ‘교사 간 의사소통’, ‘전문적 학습공동체’, ‘연수 프로그램’, ‘관리자 리더십’ 등 교육과정 지원 체계의 강화가 중장기적으로 요구되는 과제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운영 측면에서는 ‘학습 과제’와 ‘운영 지침’이 서로 상이한 개선 요구 양상을 보였으며, 교육과정 편성 측면의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의 계열성·계속성·통합성’은 비교적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중등 연계를 반영한 통합적 연수 자료의 개발과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 도입, 교원양성체제 개편을 통한 교육과정 연계 강화, 교사 간 협력적 환경 조성과 학교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 강화를 정책적 개선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이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 교육과정 연계성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보다 일관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iority tasks for enhancing curriculum continuit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to suggest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To achieve thi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the current and required levels of curriculum continuity, and prior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d LF(The Locus for Focus) models. Results showed that both groups of teachers identified “training materials” and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as top-priority tasks. Teachers indicated an urgent need for training materials to clearly understand curricular differences between school levels and effectively apply them in teaching practice. Meanwhile, the existing teacher education system, which separately trains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as analyzed as a major factor hindering teacher collaboration and weakening continuity in student learning. Additionally, strengthening curriculum support systems—including “teacher communicati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raining programs,” and “administrative leadership”—emerged as important mid- to long-term tasks. In term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learning tasks”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exhibited different patterns of improvement needs, while aspects of curriculum organization such as “educational objectives” and “sequence, continuity, and integration of educational content” appeared relatively effective but required continuous monitor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policy recommendations such as developing integrated training materials reflecting elementary-secondary continuity, introducing tailored training programs, reforming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to enhance curriculum linkage, fostering collaborative environments among teachers, and strengthening systematic school-level support. These results may serve as foundational data to improve curriculum continuit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coherent learning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민,김지혜,홍후조. (2025).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 (1), 437-462

MLA

박소민,김지혜,홍후조.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1(2025): 437-4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