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First-Level Teacher Training on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Early-Career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최연우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51~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저경력 교사의 교직 생애에서 1정 연수의 시기적 중요성에 근거하여,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인과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 1차년도(2021)부터 3차년도(2023)까지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1정 연수 효과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이질적 이중차분법을 수행하되 교직경력에 따른 1정 연수 참여 가능성을 보정하고자 증강된 역확률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먼저, 1정 연수는 교직 수행에 제한적인 효과가 있다. 1정 연수 프로그램 참여는 교직 가치 중 진보적·현실적 교육관, 교직 행동 중 설명중심 수업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1정 연수의 효과는 시기에 따라 다르다. 설명중심 수업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Cohort 2023의 1정 연수 참여 직후에서, 진보적·이상적 교육관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Cohort 2022의 1정 연수 참여 1년 후와 Cohort 2023의 1정 연수 참여 직후에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1정 연수 대상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이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시기에 따라 필요한 바가 1정 연수에 충분히 반영되고 있는지 꾸준히 점검 및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First-Level Teacher Training on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early-career teachers, focusing on the timing importance in their teaching careers as a basis for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first (2021) to third year (2023) of the Korean Teacher Longitudinal Study-Elementary School Teacher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 employed a heterogeneous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o account for variations in the training effects across cohorts. Additionally, augmented 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was applied to adjust for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likelihood based on teaching experience.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First-Level Teacher Training had limited overall effects on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early-career teachers. Specifically, the program influenced teaching values, such as progressive and realistic pedagogy, and teaching behaviors, particularly explanatory teaching. Next, the effects of the training were found to be time-sensitive. For instance, the program negatively influenced explanatory teaching immediately after participation by Cohort 2023, while positively affecting progressive and idealistic pedagogy one year after participation by Cohort 2022 and immediately after participation by Cohort 2023. Finally, the curriculum of the First-Level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aligned with participants’ expectations and continuously updated to reflect the evolving needs of different cohorts, ensuring its relevance and effectiveness in meeting contemporary educational deman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