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용수 2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아 박미화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기자비,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초등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9.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변인 간 관련성과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 중 물질적 지지가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자기자비를 거쳐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물질적 지지의 조건부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자기자비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에 대처하는 강력한 요인이 되며, 자기자비를 향상시키면 물질적 지원에 관계없이 소진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교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자기자비를 향상시키는 것이 물질적 지원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더 유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job stress,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burnout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and SPSS 29.0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to examine both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self-compassion was identifi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Secondly,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material support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Lastly, no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material support was observed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n burnout through self-compassion. This suggests that self-compassion is a powerful factor on ciping with burnout due to job stress, effectively reducing burnout independently of material support. Thus, the study implies that enhancing self-compassion could be more beneficial for preventing burnout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n solely relying on material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