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Influencing Teachers' Intention to Continue in the Profession: Focusing on Teacher Agency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강지영 엄문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1호, 105~1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학교의 구조적·문화적 조건이 교직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장의 수업 지도성이 교사 협력과 교직 만족을 매개하여 교직 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TALIS 2018 데이터 중 한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교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장의 수업 지도성과 교사 협력 간, 교사 협력과 교직 만족 간, 교직 만족과 교직 지속 의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학교장의 수업 지도성은 교직 지속 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교사 협력과 교직 만족을 순차적으로 매개할 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행위자성이 구조적·문화적 조건과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현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직 지속 의도를 제고하기 위해 학교장 직무연수에서 교사 협력을 촉진하는 수업 지도성 관련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교사들의 수업 나눔과 연구 모임을 활성화하기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확대하며, 교직 환경의 전반적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교사행위자성이 ‘교사 지속’이라는 행위로 시연될 수 있도록 체계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and cultural conditions of schools that influence teachers' intention to remain in the profession, with a specific focus on teacher agency. Using data from TALIS 2018, the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teacher collaboration,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retention intention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prim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Korea.
The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 collabor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Whil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did not directly impact retention intention, it significantly influenced retention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empirically demonstrate that teacher agency emerges through the complex interplay of structural and cultural conditions within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trengthening instructional leadership programs in principal training to enhance teacher collaboration, expand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collaborative activities such as lesson sharing and teacher research groups, and improving overall working conditions for teachers. Such systemic efforts would foster teacher agency, enabling it to manifest as the practical action of "teacher retention"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educational practi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학교장의 포용적 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예비 초등교사들의 장애 관련 문제 인식 및 탐구-‘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익숙하게 바라보기’ 팀 과제 내용 분석-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중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쿠레레 접근을 통한 초등 초임교사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 경험 탐색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