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시기 학업 무기력의 종단적 안정성

이용수 61

영문명
Longitudinal Stability of Academic Helplessness in Middle School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하아영(Ayeong H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165~17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업 무기력의 특성, 상태 및 상황을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중학교 시기 학업 무기력의 종단적 안정성을탐색하였다. 방법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반복 측정된 2,32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종단적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안정적인 모수추정을 위해 상황요인, 측정오차 및 상황요인의 오차분산에 제약을 가한후 잠재 특성-상태-상황(TSO)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중학교 시기 학업 무기력은 잠재 특성-상태-상황(TSO)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 무기력 상태에 대한 평균적인설명량은 특성 26.4%, 상황 73.6%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 무기력 상황의 종단적 안정에 대한 자기회귀계수는 .092∼.099로 나타났다. 결론 중학교 시기 학업 무기력의 상태는 특성과 상황이 공존하나, 개인의 특성보다는 환경적 맥락의 영향이 보다 큼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학업 무기력 감소를 위한 개입이나 프로그램이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trait, state, and occasion of academic helplessness in detail and explored the longitudinal stability of academic helplessness in middle schools. Methods A longitudin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2,325 repeatedly measured from the first to third grades of middle school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The latent trait-state-occasion(TSO) model was analyzed after imposing constraints on occasion factors, measurement error, and variance of occasion factors for stable parameter estimation. Results The latent trait-state-occasion(TSO) model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academic helplessness in middle school, and the average explanatory amount for academic lethargy was 26.4% in trait and 73.6% in occasion. In addition,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 for longitudinal stability of the academic helplessness occasion was .092 ∼.099.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rait and occasion coexist in academic helplessness in middle school.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context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individual traits, suggesting that interventions or programs to reduce academic helplessnes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아영(Ayeong Ha). (2024).중학교 시기 학업 무기력의 종단적 안정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165-176

MLA

하아영(Ayeong Ha). "중학교 시기 학업 무기력의 종단적 안정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165-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