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일 방송콘텐츠에 나타난 피동표현 연구

이용수 67

영문명
Study on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Broadcast Content: Focusing on Non-Passive Expression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현경(hyunkyung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769~78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일 병렬말뭉치 중에서 방송콘텐츠를 활용한 한·일 피동표현의 사용 실태를 비교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피동표현을 자주 사용하고 있지만 병렬말뭉치로 피동표현을 비교·분석한 자료는 많지 않고 비피동표현에 관한 연구가드물기 때문에 연구할 필요가 있다. 방법 첫째, 한·일 병렬말뭉치 중 방송콘텐츠를 기반으로 약 60만 어절의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피동표현을 각각 수집·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어 비피동표현과 일본어 비피동표현을 추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한·일 피동표현 및 비피동표현의 사용양상과 사례를 통해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혔다. 결과 한국어에서만 나타나는 피동표현은 총 424개로, 접미사피동이 254개로 60%, 어휘적 피동이 131개로 31%, 통사적 피동이39개로 9% 추출되었다.. 다음으로 일본어에서만 나타나는 피동표현은 -れる가 219개로 89%, -られる가 26개로 11% 추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한일 상호피동표현은 총 101개로, 접미사피동이 29개로 29%, 어휘적 피동이 68개로 67%, 통사적 피동이 4개로4%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일 병렬말뭉치 중 방송콘텐츠를 활용하여 한·일 피동표현의 사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한국어가 피동표현일때 일본어에서 비피동표현이 자주 사용된 이유는 자동사로 피동표현을 대체했기 때문이며 접미사 피동과 통사적 피동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 피동표현에서 2음절의 한자어가 어휘적 피동표현에서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한자어권의 특징으로 피동교육 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뿐만 아니라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usage patterns of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Although passive expressions are frequently used in both Korea and Japan, there is limited data comparing and analyzing passive expressions through corpora, and research on non-passive expressions is rare, hence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Methods First, we collected and analyzed passive expressions from approximately 600,000 words of Korean and Japanese broadcast content. Second, we extracted and compared non-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Third, we elucidated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through the usage patterns and examples of passive and non-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Results Passive expressions found only in Korean total 424, with suffix passives being 254 or 60%, lexical passives 131 or 31%, and syntactic passives 39 or 9%. Next, passive expressions found only in Japanese consist of -れる form with 219 or 89%, and -られる form with 26 or 11%. Finally, passive expression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total 101, with suffix passives being 29 or 29%, lexical passives 68 or 67%, and syntactic passives 4 or 4%.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usage patterns of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using broadcast content from a Korean-Japanese parallel corpus. The reason why non-passive expressions in Japanese were frequently used when Korean was in passive form was because they were often substituted with intransitive verbs, particularly in suffix and syntactic passives. However, in mutual passive expressions, two-syllable Chinese character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lexical passive expressions, which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passive educ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usag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not only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Japanese learners of Korean but also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경(hyunkyung Park). (2024).한·일 방송콘텐츠에 나타난 피동표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769-783

MLA

박현경(hyunkyung Park). "한·일 방송콘텐츠에 나타난 피동표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769-7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