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이용수 57

영문명
Research Trends o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ism in Inclusive Education: With a Focus on Research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안제춘(Jechun An) 임진형(Jin Hyung L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예비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활동을 제공한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최종적으로 포함된 연구 51편을 대상으로 연도, 연구유형,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영역, 전문성 신장 경험, 대상에 따라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관련 국내 등재지 및 후보지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각 변인별로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의 연구를5년 단위인 2013년부터 2017년까지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수행된 연구의 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교과 과정에 비해 비교과 과정이 전반적으로 적게 제공되었으며, 비교적 최근 5년에는 교과과정인 경우에는 연구의 수와 비율이 각각 1편과 4% 증가한 반면, 비교과 과정의 연구 수는 4편 증가하였으며 비율로는 200% 증가하였다. 연구유형별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활동별로는 인식 및 태도가 전체 연구의 90% 정도에서 다루고 있었으며, 이에 반해 지식과 기능(역량)은 각각 전체 연구의 25%와 17%에서 다루고 있었다. 전문성 신장 경험별로는 교과 과정이 84%로 비교과 과정의 16%에 비해 비교적 높은 비율로 제공되었다. 전반적으로 예비유아교사(37%)와 예비중등교사(39%) 대상 연구가 예비초등교사(19%) 대상 연구보다 많은 편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적게 이루어진 변인 영역을 중심으로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at provided activities to enhance professionalism in inclusive education for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over the recent 10 years. Methods A total of 51 studies included in the current analysis examined trends in domestic journals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types, professionalism of inclusive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and participants. We compared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for each variable over a 10-year period from 2013 to 2022, analyzing the quantity of research conducted in two 5-year intervals: from 2013 to 2017 and from 2018 to 2022.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ompared to studies providing curriculum activities, studies providing non-curricular activities were more conducted. In relatively recent years, while the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research in the curriculum activities increased by one study and four percent, the number of research in the non-curricular activities increased by four studies, and proportion increased by 200%. Experimental studie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among research types. In terms of activities to enhance professionalism in inclusive education, perception and attitude were covered in about 90% of all studies, while knowledge and skills were covered in 25% and 17% of all studies, respectively. In terms of activities of professionalism, the curriculum activities were provided at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84% compared to 16% in the non-curricular activities. Overall, more studies targeting pre-service teachers(37%) and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39%) were conducted than studies target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19%).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ocusing on the areas with relatively less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제춘(Jechun An),임진형(Jin Hyung Lim). (2024).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1-13

MLA

안제춘(Jechun An),임진형(Jin Hyung Lim).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