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 활동 장면을 떠올리며 그린 그림(drawings)

이용수 72

영문명
Drawing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ile recalling scenes from early childhood science activit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정윤(Jungyoon Chang) 강경미(Kyeongmi K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503~52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 활동 장면을 떠올리며 그린 그림 분석과, 그림에 대한 면담을 통해 유아과학교육에서가르칠 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방향을 잡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A시 소재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34명을 대상으로 유아과학교육 수업 시간에 유아 과학 활동 장면 그리기를실시한 뒤 그 중 9명의 학생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린 그림(drawings)의 내용은 유아과학교육 내용에 따라분류하여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면담 자료는 반복해서 읽으며 주요 키워드와 주요 내용을 토대로 범주화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린 그림을 분석한 결과, ‘식물을 가꾸고 관찰하기’, ‘동물을 기르고 관찰하기’ 장면이 가장많이 나타났으며, ‘선생님과 함께 실험하기’, ‘놀이 안에서 과학하기’, ‘야외학습에서 동식물 경험하기’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 활동에 대해 ‘동식물’, ‘생명과 자연환경’ 관련 주제나,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활동 유형에 편중된 생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면담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과학과 관련된 부정적 경험과 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심적으로 불편해하고 어려워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유아과학교육 시간에 교수자가 과학교육의 내용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하고, 예비유아교사들과 함께 관련 과학 활동들을 직접체험해보는 과정이 필요함을 알게 한다. 또한, 그들의 과학에 대한 무관심과 과학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도 함께 낮추어 줄 필요가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rawings and interview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science activities and to orient them o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o be taught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34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City A were asked to draw scenes of early childhood science activities during a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lass, and th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of them. The content of the drawings drawn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o examine trends, and the interview data was read repeatedly and categorized based on major keywords and main content. Results In this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rawings were analyzed and found that the most common scenes were ‘growing and observing plants’ and ‘raising and observing animals’. But ‘experimenting with the teacher’, ‘doing science in play’, ‘experiencing plants and animals in outdoor learning’ were relatively rar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biased ideas about early childhood science activities, topics related to ‘animals and plants’, ‘lif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types of science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doors. The interviews also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negative experiences and feelings related to science, which makes them feel uncomfortable and have difficulty with scienc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reflect more divers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urses and to experience science activities directly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reduc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fference to science and their vague fear of sc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정윤(Jungyoon Chang),강경미(Kyeongmi Kang). (2024).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 활동 장면을 떠올리며 그린 그림(drawing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503-521

MLA

장정윤(Jungyoon Chang),강경미(Kyeongmi Kang).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 활동 장면을 떠올리며 그린 그림(drawing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503-5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