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담실습 수업을 통한 석사생들의 상담 전문성 발달 경험 연구

이용수 73

영문명
A study on the Master students’ development experience of counseling competencies through counseling practice class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은(Youngeun Kim) 윤미선(Misun Yoon) 이현정(Hyunju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463~4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상담 석사생들의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상담실습 수업에서의 상담 전문성 발달 경험에 대한 탐색을 위한 질적연구이다. 방법 참여자는 석사 교육 과정 내에서 상담실습 수업을 수강한 재학 및 졸업생 10명이며, 상담실습 수업은 수업 내에서 상담 기술연습, 모의 상담 등 형태로 상담 실제를 경험할 수 있는 수업을 의미한다. 면담은 줌으로 진행하고 연구자 두 명이 짝을 이루어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료분석 결과 상담실습 수업을 통한 상담 전문성 발달 경험은 3개의 주제군(실습수업에 대한 절실함, 두려움 극복과 순환적체험의 실습수업 과정, 상담전문가로 질적 성숙)과 6개의 주제 즉, ‘부족한 상담능력을 채우고 싶음’, ‘상담 전문성을 갖추고 싶음’, ‘부족한 상담역량이 드러날까봐 불안하고 두려운 실습수업’, ‘상호작용에 의한 반복적·순환적 체험으로 깊어지는 공동체적 배움과정’, ‘체화를 통한 상담기법의 질적 변화, 상담자적 태도의 내적 성장’ 이며, 구성의미는 24개가 도출되었다. 특히, 실습수업 과정에서 일어나는 피드백과 상호작용을 통해 동료들과 반복적이며 순환적인 상담실습을 체험하며, 자신의 내면에 대한 통찰이 깊어지게 되고, 상담 기법을 익히고 체화하며 이를 다시 상담에 적용하는 순환과정을 통해 배움이 일어나고 상담 전문성이 향상되는 것을경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상담전공 석사생들이 상담실습 수업에서 실제로 경험하는 심층적인 실제를 밝힘으로써 상담실습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과정적인 측면의 기초자료 제공과 구체적인 전문적 상담역량의 발달 경험을 실제적 상담역량과 관련하여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counseling competencies in counseling practice classes conducted in the classroom of master counsel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 enrolled and graduates who had taken counseling practice classes within the master's curriculum, and the counseling practice class is a class where students can experience counseling practice in the form of counseling skills practice and mock counseling within the clas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via Zoom, and two researchers participated in pai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3 theme groups, 6 topics, and 24 compositions were derived. The 3 theme groups appeared as ‘desperate for practice classes’, ‘the practice course of overcoming fear and cyclical experience’, and ‘qualitative maturity as counseling experts’. The 6 topics are in the following: ‘want to fill in insufficient counseling skills’, ‘want to have counseling expertise’, ‘practice classes that are anxious and afraid that insufficient counseling capabilities will be revealed’, ‘community learning process that deepens through repetitive cyclical experiences’, ‘qualitative change in counseling techniques through embodiment’ and ‘internal growth of counseling attitudes’. In particular, through feedback and interactions that occurred in the practice class proces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repetitive and cyclical counseling practice with colleagues, deepened their insight into their inner selves, and learned and embodied counseling techniques, and applied them back to counseling, and they experienced learning and improved counseling expertise.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eds light on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specific professional counseling competencies and providing basic data in the process asp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counseling practice classes by revealing the in-depth reality that counseling majors actually experience in counseling practic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은(Youngeun Kim),윤미선(Misun Yoon),이현정(Hyunjung Lee). (2024).상담실습 수업을 통한 석사생들의 상담 전문성 발달 경험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463-486

MLA

김영은(Youngeun Kim),윤미선(Misun Yoon),이현정(Hyunjung Lee). "상담실습 수업을 통한 석사생들의 상담 전문성 발달 경험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463-4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