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튜터링 지원 챗봇 설계를 위한 튜터의 어려움 탐색

이용수 56

영문명
Exploring the Challenges Faced by Tutors for a University Tutoring Chatbot Desig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손예지(Ye Ji Son) 이정민(Jeongmi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659~67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튜터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 탐색하고, 튜터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생성형AI 챗봇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자료 다각화(data-triangulation)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 소재의 A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튜터9인을 대상으로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시기별로 경험한 어려움을 중심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튜터링 녹화 영상을 수집하고 튜터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reswell이 제시한 질적연구 분석을기반으로 인터뷰 자료를 범주화하였고, 이를 튜터링 녹화 영상과 선행연구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결과 튜터들은 튜터링 시작,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의 시기에 어려움을 경험하며,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은 튜터링 준비-튜터링 활동-튜터링 성찰의 시기로 구분되어 각기 다른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첫째, 튜터링을 시작하는 시기에 튜터의 교수적 역할 중 특히 학습과정 안내자로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튜터링 준비 과정에서 튜터들은 교수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셋째로 튜터링 활동의 과정에서는 교수적 역할 중 학습과정 안내자로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또한 사회적 역할과 관리적 역할의 학습 관리자로서 난점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튜터링 성찰의 과정에서 튜터들은 조직 관리자로서의 관리적 역할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튜터 지원을 위한 챗봇을 설계할 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튜터가 경험하는 어려움을 튜터링 프로그램의 시기와 튜터의 역할에 따라 구분한 결과를 바탕으로. 튜터의 어려움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챗봇 설계를 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faced by tutors in a tutoring program and provid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chatbots intended to assist tutor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the data-triangulation method. 9 tutors from College of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interviewed about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t various stages of the tutoring program. In addition, video recordings of tutoring sessions and previous research on the challenges tutors fa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terview data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using Creswell's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and were validated by comparing the analysis of the tutoring videos and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Tutors encountered various challenges both when at the beginning and during the tutoring program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preparation, activity, and reflection. Initially, tutors faced challenges in their instructional role, particularly as learning process guides. Sencond, tutors also encountered difficulties in their instructional role during preparation. Third, during activity procession tutors also experienced challenges in instructional role. Furthermore, they have problem with social role and administrative role as learning manager. Finally, during reflection, tutors encountered difficulty in their administrative role as organizational manager.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utor support chatbot design. Conclusions This study categoriz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utors based on the time process of the tutoring program and role of the tuto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designing a chatbot to assis tutors in resolving their challen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예지(Ye Ji Son),이정민(Jeongmin Lee). (2024).대학 튜터링 지원 챗봇 설계를 위한 튜터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659-678

MLA

손예지(Ye Ji Son),이정민(Jeongmin Lee). "대학 튜터링 지원 챗봇 설계를 위한 튜터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659-6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