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미래 리터러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65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llege student futures literacy diagnostic t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효정(Hyojung Jung) 정승환(Seunghwan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563~58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리터러시의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미래 리터러시에 대한 정의, 하위요소 규명, 진단 문항을 제안하였다. 방법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미래 리터러시의 정의와 구성요인, 진단문항을 규명하였으며, 11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기법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받았다. 문항의 구인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및 문항의모델적합성 및 타당도를 구체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68개 문항의 구인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총 39개의 문항이 삭제되었으며, 총 29개 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가 완성되었다. 총 29개 진단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를 살펴볼 때, Bartlett 구형성 검증 결과는 p < .001 (Chi-square = 2386.691, df = 406)로 유의미하였으며, KMO(Kaiser-Meyer-Olkin) 측도는 .861으로 .5 이상이었으므로, 요인분석에 적합한 행렬로 나타났다. 결론 최종적으로 미래 리터러시의 정의 및 구성요인, 요인별로 정의된 29개의 진단문항이 확정되었으며, 이는 미래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있어 계량화된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diagnostic tools for futures literacy. To achieve this, definitions of future literacy, identification of sub-elements, and diagnostic items were proposed. Methods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definition, components, and diagnostic items of future literacy were identified, and feasibility was reviewed through the Delphi survey technique targeting 11 experts. To ensure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data were collected from 244 college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program to specifically verify the model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factors and items. Results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of 68 items, a total of 39 items were deleted, and a diagnostic tool consisting of a total of 29 items was completed. When examining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a total of 29 diagnostic items, the Bartlett sphericity test result was significant at p < .001, and KMO was .861, which was above .5, so it appeared to be a matrix suitable for factor analysis. Conclusions Ultimately,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future literacy and 29 diagnostic items defined by factor were confirmed, which can be used as a quantified diagnostic inventory in planning and operating future literacy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효정(Hyojung Jung),정승환(Seunghwan Jung). (2024).대학생 미래 리터러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563-581

MLA

정효정(Hyojung Jung),정승환(Seunghwan Jung). "대학생 미래 리터러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563-5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