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입학전형 선택의 영향 요인 분석

이용수 55

영문명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Admission Type Preferences: the case of A Univers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윤희(Yoonhee Park) 임수원(Suwon Yim) 장운민(Wunmin Jang) 김지수(Jisoo Kim) 송영주(Youngjoo S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523~54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입학전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개인 배경,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성, 학습동기, 전공선택동기)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A대학 재학생 1,0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대학 입학전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그리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학생들의 배경(출신 고교 지역, 출신 고교 유형, 보호자의 최종 학력)에 따라 입학전형 선택에 차이가 나타났다. 개인 특성 중자기효능감과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입학전형 선택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입학전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 배경요인과 개인 특성요인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출신 고교 지역이 서울 및 수도권일수록, 남성 보호자의 최종 학력이높을수록, 내적 전공선택동기가 높을수록 학생부 종합 전형을 지원할 가능성이 더 높고, 광역시 또는 중소도시일수록, 여성 보호자의 최종 학력이 높을수록, 외적 전공선택동기가 높을수록 정시 전형을 지원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대학 입학전형을 선택하는 학생들의 배경과 특성이 차이가 있으므로, 대학은 학생들의 선발 단계뿐 아니라 학업 및 진로 지원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oice of admission types among college students, including personal background, self-efficacy, autonomy, learning motivation, and major selection motiv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on 1,099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in Seoul. Factors influencing admission type preferences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one-way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Differences in admission type preferences emerged based on students' backgrounds, including the region and type of their high school, and the highest educational attainment of their guardians.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sparities in admission-type pre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self-efficacy and major selection motivation. In relation to the origin of the high school, as the region shifted to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as the educational attainment of male guardians increased, along with stronger intrinsic motives for major selection, the likelihood of opting for the regular comprehensive evaluation process increased. Conversely, in cases where the originating high school was located in urban or smaller cities, and when female guardians possessed higher educational qualifications, along with stronger extrinsic motives for major selection, there was an elevated probability of preferring the regular admission method. Conclusions Given the variations in the backgrounds and attributes of students selecting university admission types, universities should take a keen interest not only in the selection process but also in academic and career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윤희(Yoonhee Park),임수원(Suwon Yim),장운민(Wunmin Jang),김지수(Jisoo Kim),송영주(Youngjoo Song). (2024).대학 입학전형 선택의 영향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523-542

MLA

박윤희(Yoonhee Park),임수원(Suwon Yim),장운민(Wunmin Jang),김지수(Jisoo Kim),송영주(Youngjoo Song). "대학 입학전형 선택의 영향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523-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