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 및 교육 요구도 분석

이용수 70

영문명
Analysis of Differences in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Based on Whether University Students Have Received AI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혜영(Hyeyoung Jo) 오세원(Sewon O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15~2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과 충청도 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281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t-검증으로 차이를 분석하였고, IPA 분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학습역량의 현재 수준인의사소통과 중요도의 창의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이다.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의사소통, 비판적사고,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비판적사고로 나타나 교육 우선순위에서 공통된 하위요인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비판적사고는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2순위로 나타나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비판적사고를 강화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었다. 셋째, AI 교육경험이 없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 창의성이며,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창의성, 비판적사고로 나타났으며,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공통적인 요인이 창의성으로 나타나 이를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AI 교육 유무에 따른 교육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I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exposure to AI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associated with AI education. Methods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281 students enrolled in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Chungcheong-do region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the Excel program.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were examined through IPA,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Based on the main results, First,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AI education, and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domains exceptcommunication, which isthe current level of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and creativity, which is importa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shows that critical thinking is a key area of foc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import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Borich needs analysis,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irst quadrant, HH zone, manifested as critical thinking. While no common sub-factors appeared in education priorities, critical thinking emerged as the second-highest priority in the Borich Needs Assessment. This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may need support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skills.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out any prior experience in AI education are as follow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focus are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e Locus for Focus Model shows that the first quadrant, HH, represent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nd the common factor with Borich's needs analysis is creativity. Therefore, ways to support them should be prioritized.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support fo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ased on whether AI education is present or absent. Furthermore, I would like to propose effective measures to enhance the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영(Hyeyoung Jo),오세원(Sewon Oh). (2024).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 및 교육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1), 15-27

MLA

조혜영(Hyeyoung Jo),오세원(Sewon Oh).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 및 교육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2024): 15-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