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 및 교육 요구도 분석
이용수 324
- 영문명
- Analysis of Differences in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Based on Whether University Students Have Received AI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영(Hyeyoung Jo) 오세원(Sewon O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15~2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과 충청도 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281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t-검증으로 차이를 분석하였고, IPA 분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학습역량의 현재 수준인의사소통과 중요도의 창의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이다.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의사소통, 비판적사고,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비판적사고로 나타나 교육 우선순위에서 공통된 하위요인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비판적사고는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2순위로 나타나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비판적사고를 강화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었다. 셋째, AI 교육경험이 없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 창의성이며,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창의성, 비판적사고로 나타났으며,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공통적인 요인이 창의성으로 나타나 이를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AI 교육 유무에 따른 교육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I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exposure to AI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associated with AI education.
Methods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281 students enrolled in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Chungcheong-do region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the Excel program.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were examined through IPA,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Based on the main results, First,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AI education, and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domains exceptcommunication, which isthe current level of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and creativity, which is importa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shows that critical thinking is a key area of foc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import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Borich needs analysis,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irst quadrant, HH zone, manifested as critical thinking. While no common sub-factors appeared in education priorities, critical thinking emerged as the second-highest priority in the Borich Needs Assessment. This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may need support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skills.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out any prior experience in AI education are as follow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focus are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e Locus for Focus Model shows that the first quadrant, HH, represent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nd the common factor with Borich's needs analysis is creativity. Therefore, ways to support them should be prioritized.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support fo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ased on whether AI education is present or absent. Furthermore, I would like to propose effective measures to enhance the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1호 목차
- 성인 초기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물질주의와 사회비교의 순차 매개효과
- 웹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준말형 조사 교육 연구
-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노인 대상 노래중심 음악치료의 연구 동향 분석
- 중학교 시기 학업 무기력의 종단적 안정성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합기도의 인식변화 연구
- 대학생을 위한 단회기 진로상담 모형 및 운영 매뉴얼 개발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습자 특성에 따른 정의적 스캐폴딩 실행연구
- 몬테소리 학습자관의 학생 주도성에 대한 함의
- 중국 합창지휘 전공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이 공연불안에 미치는 영향
- 중년 여성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만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융합교육 수업 사례 연구
- Development of a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linical Reasoning Development in Preclinical Students Based on Illness Scripts
- 학습저성취 고등학생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그룹 멘토링 간호술기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사, 한국어 학습자, 한국인 모어 화자의 단어 연상 의미 관계 비교 연구
- ‘웅덩이’와 소나무 어린이집 영유아들의 얽힌 놀이되기
- 음악을 전공한 특수교사의 자서전적 생애사 연구
- 일 대학 간호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과 자조기술, 유아-교사의 상호작용과의 관계 및 영향
- 한국, 핀란드, 노르웨이 교육과정 내 유아사회교육 내용 비교·분석
- 대학 튜터링 지원 챗봇 설계를 위한 튜터의 어려움 탐색
- 성인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능인가 학생부인가? 입학전형별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고차원학습 차이
- 유아 배움의 현상 탐구
- 상담실습 수업을 통한 석사생들의 상담 전문성 발달 경험 연구
- 습관적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간호법 제정에 대한 인식
- 부모의 성취압력,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교적응의 관계
- 대학생의 리더육성 장학사업의 만족도 및 성과, 자기주도 학습 태도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취업 사교육 참여가 대학생의 구직효능감과 구직 소요기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생의 학습참여, 교양교육 만족도, 디지털 리터러시가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 언어장애 아동의 인지양식 관련 연구의 동향 및 과제
- 대학생의 외로움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공동양육과 인권친화적 양육태도와의 관계
- 고등학생의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위축과 공격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커뮤니카트 활성화를 통한 시 교육 방법
- ARCS 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여성건강간호학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직업정체성,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 대학 입학전형 선택의 영향 요인 분석
- 대학생 미래 리터러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해커톤 기반 AI 메이킹 프로젝트 프로그램이 예비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일 방송콘텐츠에 나타난 피동표현 연구
-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 활동 장면을 떠올리며 그린 그림(drawings)
-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원격수업 인증지표 개발 연구
- 가상현실 저작도구의 상호작용 요소 비교분석 및 고찰
- 초기 성인의 공적 자의식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정신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