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이용수 43

영문명
A pragmatic approach to writer’s textual refle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혜림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921~93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과정에서 필자가 자신의 텍스트를 반성하는 인지 작용을 규명함으로써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화용론적 기호학에 따르면 기호의 해석자는 즉각적, 역동적, 최종적 해석체를 구성한다. 쓰기 상황에서 필자는 기호의 생산자이면서 동시에 해석자이므로 이러한 해석체를 능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각각의 해석체는 텍스트 표상, 독자 표상, 담화 공동체 표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각 표상을 구성하는 인지 전략은 화용론적 추론 모형인 적합성 이론으로 설명 가능하다. 결과 텍스트 표상의 구성은 상향식 읽기와 관련이 있고, 독자 표상과 언어 공동체 표상은 각각 함축적 의미, 맥락적 의미와 관련이 있으며 둘 다 하향식 읽기가 관여한다. 필자가 텍스트 반성의 목적을 가지고 쓰고 있는 텍스트를 읽을 때에는 자신이 전달하려고 하는 의미와 배경지식을 배제하는 의식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텍스트 반성을 할 때에는 상향식 읽기와 하향식 읽기를 구분하고 하향식 읽기는 다시 독자 표상과 언어 공동체 표상으로 구분하여, 한 번에 한 가지의 읽기 방식을 선택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다. 결론 텍스트 반성 과정에서 필자가 구성할 수 있는 표상들은 각각 주제, 목적 및 독자, 언어 공동체와 관련이 있으므로, 수사적 요소별로 계열화하여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읽기의 층위를 사실적, 추론적, 비판적 이해로 구분하는 것처럼 필자의 텍스트 반성의 층위 역시 세 개의 표상으로 구분한다면 계열화가 가능하고, 각 수사적 요소를 중심으로 추론 모형을 형성하는 인지 작용을 전략화하여 교육 내용으로 삼을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ocess-centered writing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cognitive action in which the writer reflects on his/her text during the writing process. Methods According to pragmatic semiotics, the interpreter of signs constitutes an immediate, dynamic and final interpretive body. In the writing situation, the writer is both a producer and an interpreter of signs, so he must be able to actively construct such interpretations. Each interpretive body can be specified as a text representation, a reader representation, and a discourse community representation. The cognitive strategies constituting each represent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suitability theory, which is a model of pragmatic reasoning. Results The composition of text representation is related to bottom-up reading, while reader representation and linguistic community representation are related to connotation and contextual meaning, respectively, both of which involve top-down reading. When the author reads the text he is writing for the purpose of text reflection, a conscious effort is required to exclude the meaning and background knowledge he is trying to convey. Therefore, when reflecting on tex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bottom-up reading and top-down reading, and to divide top-down reading into reader representation and linguistic community representation, and select and perform one reading method at a time. Conclusions In the process of text reflection, the representations that can be constructed are related to the subject, purpose, reader, and language community, so it is necessary to teach them in sequence by rhetorical element. Just as the layers of reading are divided into factual, inferential, and critical understanding, it is possible to sequence the layers of my text reflection into three representations. Cognitive actions that form an inference model centered on each rhetorical element can be strategically made into educational content.

목차

Ⅰ. 서론
Ⅱ. 텍스트 반성에 대한 기존의 관점
Ⅲ. 화용론적 관점의 텍스트 반성의 의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림. (2023).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4), 921-934

MLA

박혜림.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2023): 921-9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