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이용수 150

영문명
Critical Examination of Technology-Based Future School AltSchool on the Basis of Biesta’s Practical Intersubjectiv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원 남미자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223~23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Gert J. J.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을 바탕으로 미래교육의 모델로 주목받았던 알트스쿨의 운영 방식과 원리를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학교 담론에서 고려해야 할 바는 무엇인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알트스쿨의 교육과정과 운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탈주체주의적 접근을 기반으로 공동의 의미를 구성해 가는 차원에서 교육을 바라보는 것을 실천적 상호주관성에 입각한 교육의 핵심으로 보고 이를 토대로 알트스쿨의 교육 모델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알트스쿨의 교육모델은 교육을 논리적이고 위계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주체주의에 입각한 개인적 활동으로 전제하여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이 안내하는 개별화된 학습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는 교육의 관계성을 간과한 것으로 교사의 역할을 기계적이고 기술적인 영역으로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육을 지식을 습득하고 적용하는 학습활동으로서만 축소하여 이해함으로써 교육의 사회적 책임과 방향성에 대한 협력적 고찰이 부재하였다. 결론 미래교육 담론은 총체적 삶에서 교육은 무엇인가에 대한 성찰을 구심점으로 삼아야 하며 실천적 상호주관성으로서의 교육의 의미를 고찰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ritically investigate AltSchool, a technology-based future school that was once spotlighted for its innovative individualized model of learning, on the basis of Biesta’s concept of practical intersubjectivity. We hope to gain insights into what future education discourses should take into account by exploring the meaning of education. Methods We reviewed Biesta’s concept of practical intersubjectivity on the theoretical level and used it to analyze AltSchool’s curriculum and implementation. We particularly focused on the idea of understanding education as dynamic and reciprocal process of meaning making, which is thinking beyond subjectivism. Results AltSchool assumed education as individualized activities that follows rational and hierarchical principles and is acted out by individual sutdent subject and thus provided individualized learning that was guided by big data and algorithm. This approach overlooked the relational nature of education and caused teachers to take part mainly in technical interactions and accountability ambiguous. Moreover, it led to learnification of education in which spaces for cooperative inquiry on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tilies of education were limited. Conclusions Critical reflection on the purpose of education in a holistic life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as practical intersubjectivity should serve as a focal point of the discourse on futur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Ⅲ.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교육과정과 운영
Ⅳ.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알트스쿨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탐색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원,남미자. (2023).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4), 223-237

MLA

김지원,남미자.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2023): 223-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