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Functions and Learning Experiences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Bareunsori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윤 박상옥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783~8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 조음능력과 발화의 정확성을 위한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대전시 여성가족원(북부)에서 운영한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1기와 2기 학습자 중 65세 이상인 5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반구조화된 질문으로 1, 2차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개방코딩, 범주화, 의미 도출 등의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은 조음능력의 향상, 발화속도의 조절과 통제를 통한 발화의 정확성, 입술떨림 및 말더듬 현상 감소, 정확한 문장 읽기 등의 언어기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노인의 학습경험은 자신의 말습관에 대한 성찰, 언어기능향상으로 인한 자신감 상승으로 타인에게 학습을 지도하는 새로운 역할 경험, 내재되어 있던 교육 욕구 충족 의지, 모국어에 대한 인식 재정립 등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었다.
결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쇠퇴되는 언어기능은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과 학습방법을 통해 지연시키거나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교육 참여의 경험은 노년기의 삶에 질과 새로운 역할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또한, 전 생애 발달이라는 관점에서 노년기에 쇠퇴만이 아닌 계속 성장,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교육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languag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Bareunsori(meaning ‘right sound’)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articulation ability and accuracy of speech.
Methods In this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five learners aged 65 or older among the first and second learners of the Bareunsori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the Women’s Family Center (North) in Daejeon in 2022. For data collection, after the program was executed, the first and seco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processes such as transcription,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derivation of mean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Bareunsori education program recognized that their language functions, such as improved articulation ability, accuracy of speech through regulation and control of speech speed, reduction of lip tremor and stuttering, and accurate sentence reading, were recognized. Thes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elderly are interpreted as meanings such as introspection on one's own speech habits, experience of a new role in guiding learning to others with increased self-confidence due to improvement in language function, willingness to satisfy the inherent educational need, and reestablishment of the recognition of the mother language.
Conclusions Language function, which declines with age, can be delayed or improved through correct sound education program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education opened up the quality of life and the possibility of new roles in old age.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was confirmed in that it can continue to grow and develop, not just decline in old a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행복과 협동심의 종단적 상호관계
-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및 인식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프로그램 내용 특성 비교 분석
-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직선 및 수체계, 실수의 성질 의미와 관계에 대한 중학생의 오류와 그 오류 사이의 관계
-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사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 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 초등 도덕 교과서 삽화에 드러난 ‘성역할 및 성 형평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역사회간호학 교육이 학습동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 청각장애인의 읽기 이해력 관련 연구 동향
- 실생활 맥락의 조건 명제에서 보이는 고등학생의 추론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성장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인한 대학생의 피로, 우울, 삶의 질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선정과 교육방안 연구
- 중학생의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최신 개인정보 유출 사례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 자료 개발
-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우울의 관계
-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 초등교사 스키마니아 가족의 첫 번째 겨울나기
- 태권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여가활동 제약에 대한 탐색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 간 구조분석
- 아동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xplici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and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인터넷 시대 한국어 교재 연구에 대한 일고찰
-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 초등영어 CLIL 수업을 위한 비계 지원 전략
- 상담수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 미용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훈육, 신뢰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 연구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4호 목차
- 일터학습개념의 전문대학 적용사례 효과성 검토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