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535
- 영문명
- Development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OECD Learning Compass 2030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연 전병훈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765~7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서 제시하는 미래 교육의 방향과 학생들이 함양해야 하는 역량을 고려하여 진로수업 또는 자유학기제에 적용될 수 있는 청소년 대상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프로그램 기획 및 설계를 위해 첫째, OECD 학습 나침반 2030, 기업가정신, 기업가정신 교육, 디자인 씽킹, 린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 학습자 중심 교육, 자기조절학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기존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목적, 프로세스, 주요 내용, 효과성 검증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과 청소년이라는 대상에 적합한 기업가정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방향을 도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목적과 ‘발견하기’, ‘상상하기’, ‘행동하기’, ‘성찰하기’의 프로그램 프로세스를 제시하였고, 프로그램 주요 내용과 효과성 평가 계획을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 차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창업에 초점을 맞춰진 기존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맥락에서 적용될 수 있는 기업가적 방법을 강조하였으며, 청소년이 지녀야 하는 역량을 제시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역량 함양을 강조하는 2022 개정교육과정과도 방향이 일치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획 및 설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한계를 지니기 때문에 현장 적용 및 평가를 통한 프로그램의 타당성 확보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teenagers that can be applied to career classes or free semester system, taking into accoun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and the competencies students should cultivate presented by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Methods For program planning and design, first, the theoretical basis for program development was prepared by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on OECD learning compass 2030,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ducation, Design thinking, Lean Startup, business model,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case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youth education program. Thir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purpose, process, main contents,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method of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presented.
Results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itable for teenagers was derived, and the program's purpose and program processes such as ‘discover’, ‘imagine’, ‘act’, and ‘reflect’ were presented, and the program's main contents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plan were discussed in detail.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 that can be applied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It is believed to be in lin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emphasizes competency development because it is based on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tartups, emphasizes entrepreneurship in various contexts. However, since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focus on planning and design, it is requir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through field application and eval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Ⅳ.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행복과 협동심의 종단적 상호관계
-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및 인식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프로그램 내용 특성 비교 분석
-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직선 및 수체계, 실수의 성질 의미와 관계에 대한 중학생의 오류와 그 오류 사이의 관계
-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사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 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 초등 도덕 교과서 삽화에 드러난 ‘성역할 및 성 형평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역사회간호학 교육이 학습동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 청각장애인의 읽기 이해력 관련 연구 동향
- 실생활 맥락의 조건 명제에서 보이는 고등학생의 추론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성장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인한 대학생의 피로, 우울, 삶의 질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선정과 교육방안 연구
- 중학생의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최신 개인정보 유출 사례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 자료 개발
-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우울의 관계
-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 초등교사 스키마니아 가족의 첫 번째 겨울나기
- 태권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여가활동 제약에 대한 탐색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 간 구조분석
- 아동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xplici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and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인터넷 시대 한국어 교재 연구에 대한 일고찰
-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 초등영어 CLIL 수업을 위한 비계 지원 전략
- 상담수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 미용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훈육, 신뢰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 연구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4호 목차
- 일터학습개념의 전문대학 적용사례 효과성 검토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