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이용수 372
- 영문명
- A Review of a University Course Evaluation Research in Korea: Focusing on the Learner Variable (1994-2022)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명희 은선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443~46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 변인과 관련된 지난 30여 년 동안의 대학의 강의평가 관련 선행연구를 통합 분석하여 학습자의 어떤 하위 요인들이 강의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서 시사점을 제시한다.
방법 국내 일반대학의 강의평가 연구 중 1994년부터 최근 2022년까지의 관련 논문을 수집하여, 논문 제목을 바탕으로 1차 분류를 진행한 후, 초록의 내용을 토대로 2차 분류를 진행하였다. 그런 후, 논문의 주요 영역을 살펴 3차 분류를 진행한 결과 학습자 변인을 다루는 총 50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본 논문들을 토대로 학습자 변인 내의 총 8개의 하위 요인 (a)학년, (b)성별, (c)성적, (d)응답 태도, (e)계열(학과) 및 과목, (f)수업 참여도, (g)학습동기, (h)학습자의 평가 동기를 카테고리로 묶어서 분석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강의평가 점수를 후하게 줬으며,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강의평가에 긍정적으로 답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실제 혹은 예상되는 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강의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응답 태도에 관한 연구에선 전체 강의평가 응답에서 일관적인 답변을 한 경우가 20%-62% 정도로 상당히 많았다. 학습자는 계열 혹은 과목에 따라 강의평가 점수를 다르게 부여하였는데 전공이 교양보다 높게 나왔고, 교양과목 내에서는 예체능 계열이 인문사회, 자연과학 계열보다 더 높게 나왔다. 학생들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강의 만족도가 높았다. 학생들은 해당 과목에 대한 흥미 및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강의평가 점수를 높게 주었으며, 학습자의 평가 동기가 높을수록 평가의 정확성이 높아졌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대학의 강의평가의 주체인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강의평가 활용 및 척도 개발/개선에 적절한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기여하리라 전망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aims to generalize what sub-categories of learner variable have an influence on university course evaluation by analyzing 30 years of related studies in Korea.
Methods Among course evaluation research between 1994 and 2022, studies related to the learner variable were collected first based on titles of articles, second by abstracts of articles, and third by reading through main sections of 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 variable can be divided into eight sub-categories: (a) university year; (b) gender; (c) grade; (d) responding attitude; (e) college of study(major) and subject; (f) class participation; (g) motivation; (h) learner’s willingness to evaluate.
Resul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more senior the student, the higher the mark they gave on their class evaluations, e.g., sophomores gave higher marks than freshmen, and juniors gave higher marks than sophomores. Male students tended to give higher marks on the course evaluation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The better their real/expected grades, the more willing students were to participate in the course evaluation and the better the marks they gave. Regarding responding attitude,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20%-62%) gave the same mark for all of the evaluation questions. Marks also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ject was related to students’ majors or college of study. Major-related courses received higher marks than general education courses, and with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dance and sports received better marks tha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The mor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ourse,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and the higher the marks they gave in their course evaluations.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give better marks when they had interest, or motivated to do well, in the course. Students’ willingness to evaluat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curacy of their course evalu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our learners and offer a valuable insight into course evaluation use and the development/improvement of this measurement t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행복과 협동심의 종단적 상호관계
-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및 인식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프로그램 내용 특성 비교 분석
-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직선 및 수체계, 실수의 성질 의미와 관계에 대한 중학생의 오류와 그 오류 사이의 관계
-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사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 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 초등 도덕 교과서 삽화에 드러난 ‘성역할 및 성 형평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역사회간호학 교육이 학습동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 청각장애인의 읽기 이해력 관련 연구 동향
- 실생활 맥락의 조건 명제에서 보이는 고등학생의 추론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성장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인한 대학생의 피로, 우울, 삶의 질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선정과 교육방안 연구
- 중학생의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최신 개인정보 유출 사례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 자료 개발
-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우울의 관계
-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 초등교사 스키마니아 가족의 첫 번째 겨울나기
- 태권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여가활동 제약에 대한 탐색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 간 구조분석
- 아동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xplici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and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인터넷 시대 한국어 교재 연구에 대한 일고찰
-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 초등영어 CLIL 수업을 위한 비계 지원 전략
- 상담수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 미용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훈육, 신뢰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 연구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4호 목차
- 일터학습개념의 전문대학 적용사례 효과성 검토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개념을 둘러싼 국내 담론 경쟁 양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