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이용수 91
- 영문명
-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Gaze Characteristics and Accuracy of Rock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etamorphic Rock Classification Proc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덕호 박경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495~5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라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6종의 변성암(천매암, 점판암, 편마암, 혼펠스, 대리암, 편암) 샘플 사진을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정보 제공 정도가 다른 변성암 분류 관련 수행 과제를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수행 과제를 지구과학 교사 2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변성암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선 이동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시선 추적기(Tobii Pro Glasses 2 model)를 활용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지구과학 교사들은 변성암을 관찰할 때 암석의 전체적인 특징보다는 암석 표면의 특정 영역이나 독특한 특징에 지나치게 집중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렇게 수집된 한정된 정보를 토대로 암석을 분류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암석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제공되는 정보가 구체적일수록 교사들의 시선 고정 시간과 시선 고정 빈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제공되는 정보가 구체적일수록 암석 판별의 정확성은 증가하였을 뿐 아니라 언급된 암석의 종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지구과학 교사들은 정보 제공 정도에 따라 암석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패턴은 ‘오답-오답-정답’의 유형이 가장 많았다.
결론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변성암 분류에 대해 학습할 때 암석의 세부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관찰시 주의해야 할 사항 등에 대한 체계적인 암석 분류 매뉴얼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변성암 분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효율적인 암석 배치를 통해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여줄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arth science teachers’ gaze characteristics and accuracy of rock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etamorphic rock classification process.
Methods To this end, 6 samples of metamorphic rocks (phyllite, slate, gneiss, hornfels, marble, and schist) were selected, and by using them, tasks related to metamorphic rock classification with different levels of information were developed. Afterwards, the developed task was applied to 21 earth science teachers, and quantitative data on gaze movement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metamorphic rock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a eye tracker (Tobii Pro Glasses 2 model).
Results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metamorphic rocks, earth science teachers tended to focus too much on specific areas or unique features of the rock surface rather tha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rock, and tended to classify rocks based on the limited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way. Second,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rock, the more specific the information provided, the more the teachers’ total duration of fixation and number of fixation tended to decrease. Third, as the information provided was more specific, the accuracy of rock identification increased, and the types of rocks mentioned tended to decrease. Fourth,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ormation provided by earth science teachers, the most accurate pattern for classifying rocks was ‘wrong answer-wrong answer-correct answer’.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ystematic manual on matters to be paid attention to when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metamorphic rocks, and to reduce the cognitive loads of learners through effective rock arrangement enhance understanding of metamorphic rocks class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행복과 협동심의 종단적 상호관계
-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및 인식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프로그램 내용 특성 비교 분석
-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직선 및 수체계, 실수의 성질 의미와 관계에 대한 중학생의 오류와 그 오류 사이의 관계
-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사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 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 초등 도덕 교과서 삽화에 드러난 ‘성역할 및 성 형평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역사회간호학 교육이 학습동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 청각장애인의 읽기 이해력 관련 연구 동향
- 실생활 맥락의 조건 명제에서 보이는 고등학생의 추론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성장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인한 대학생의 피로, 우울, 삶의 질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선정과 교육방안 연구
- 중학생의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최신 개인정보 유출 사례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 자료 개발
-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우울의 관계
-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 초등교사 스키마니아 가족의 첫 번째 겨울나기
- 태권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여가활동 제약에 대한 탐색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 간 구조분석
- 아동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xplici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and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인터넷 시대 한국어 교재 연구에 대한 일고찰
-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 초등영어 CLIL 수업을 위한 비계 지원 전략
- 상담수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 미용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훈육, 신뢰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 연구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4호 목차
- 일터학습개념의 전문대학 적용사례 효과성 검토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개념을 둘러싼 국내 담론 경쟁 양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