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65
- 영문명
- The influences from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al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University Satisfaction among the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현 어성연 경미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819~83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들의 교직 선택 동기, 자기주도적학습, 대학생활만족 간의 관련성 및 교직 선택 동기와 자기주도적학습이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강원지역 소재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48명(응답률 19.52%)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2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도구와 신뢰도는 대학생활만족(.843), 교직선택동기(.735), 자기주도적학습(.794) 등이었다. 결과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Sobel Test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예비교사의 대학생활만족, 교직동기, 자기주도적학습과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간의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여성인 경우, 재학 연령이 18세에서 21세의 경우, 능동적교직동기, 물질적교직동기가 높을수록, 자기주도적학습력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만족하는 성향이 높아졌다. 둘째, 초등예비교사의 자기주도적학습에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과 교직동기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별과 연령은 초등예비교사의 자기주도적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능동적교직동기와 함께 회귀분석 후 수동적교직동기가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의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과 교직동기, 자기주도적학습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능동적이고 물질적인 동기가 높을수록, 여학생의 경우, 자기주도적학습을 잘 할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자기주도적 학습은 초등예비교사들의 능동적 교직동기와 대학생활만족 간에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능동적교직동기가 대학생활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자기주도적학습을 매개로 하여 능동적, 물질적 동기를 지닌 경우, 여학생이, 그리고 18-21세의 재학생의 경우 더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남학생, 22세 이상, 어쩔 수 없이 대학에 진학한 수동적동기를 보인 학생의 경우 자기주도적학습은 잘 하고 있지만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from the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al(MCT) and self-directed learning (SDL) on university satisfaction (US)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DL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CT and US.
Methods Adopting on-line survey, a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surveilled and a data set with 248 participants were produced.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with SPSS ver. 21, and then Sobel Test was conducted with proposed conceptual model.
Results Gender, age bracket, active and material MCT, and SD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US. Also, gender and age bracket were the significant exogenous influencing factors on MCT.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age group under 21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US, Both the active MCT and passive MCT influenced the US as well as the levels of SDL. In this study, mediation effect of SD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CT and US was tested showe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from MCT on US via SD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 male students and students aged over 21 were at risk group in terms of US, and educational universities should provide intervening programs to promote US of those groups. Promoting active MCT and SDL could be another effective approaches to increase US among educational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행복과 협동심의 종단적 상호관계
-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및 인식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프로그램 내용 특성 비교 분석
-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직선 및 수체계, 실수의 성질 의미와 관계에 대한 중학생의 오류와 그 오류 사이의 관계
-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사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 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 초등 도덕 교과서 삽화에 드러난 ‘성역할 및 성 형평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역사회간호학 교육이 학습동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 청각장애인의 읽기 이해력 관련 연구 동향
- 실생활 맥락의 조건 명제에서 보이는 고등학생의 추론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성장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인한 대학생의 피로, 우울, 삶의 질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선정과 교육방안 연구
- 중학생의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최신 개인정보 유출 사례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 자료 개발
-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우울의 관계
-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 초등교사 스키마니아 가족의 첫 번째 겨울나기
- 태권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여가활동 제약에 대한 탐색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 간 구조분석
- 아동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xplici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and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인터넷 시대 한국어 교재 연구에 대한 일고찰
-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 초등영어 CLIL 수업을 위한 비계 지원 전략
- 상담수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 미용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훈육, 신뢰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 연구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4호 목차
- 일터학습개념의 전문대학 적용사례 효과성 검토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