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411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on the Life of Female Suicide Survivo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옥희 김명찬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263~27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로서 연구를 통해 자살생존자의 삶을 이해하는 동시에 상담심리학에서 응용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방법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접근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설계, 연구 현장으로 들어가기, 연구 현장에서 텍스트 구성,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의 구성, 연구 텍스트로 작성하기 순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와 5회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텍스트를 구성하였고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시한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시간성, 공간성, 사회성)에서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시간성에서는 딸 부잣집의 셋째 딸로 태어나 버려짐에 대한 불안 속에서 보낸 유년 시절, 빅마더 엄마의 족쇄에 채어져 원하지 않는 직장 생활을 함, 여동생의 초청으로 외국 생활을 하던 중 입양아 출신의 남편을 만남과 환상의 깨어짐, 머리 검은 외국인 남편의 부적응, 남편의 자살과 새로운 가족 형성의 주제가 나타났다. 공간성에서는 꿈이 유보된 신데렐라의 감옥, 외톨이 이방인으로서의 우울한 세계, 상징폭력 사회 속에서의 가정폭력, 시선의 폭력에 노출됨으로 주제가 나타났다. 사회성에서는 순종을 처세훈으로 삼은 타율성, 습관으로 굳어진 자기 권리의 유보, 비난의 자기 환류, 딸이 아닌 삶의 목적으로서의 딸, 공동 피해자로서의 기억의 재구성과 소생의 통로 발견이라는 주제가 나타났다. 결론 연구자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내러티브 주인공이 경험한 사회적 편견과 비난, 과도한 죄책감과 수치심, 자살생존자 특히 여성 배우자에게 가해지는 가혹한 문화적 폭력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자살생존자들의 회복과 그들의 삶을 지지할 수 있는 상담학 차원에서의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ives of suicide survivors through research and to present practical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in counseling psychology. Methods The researcher approached through a narrative inquiry method. Narrative inquir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research design, entering the research site, text composition at the research site, composition of the research text from the field text, and writing the research text. The text was constructed by conducting fiv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stori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i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space (time, spatiality, and sociality) presented by Clandinin and Connelly. Results In terms of time, the themes of childhood when she was born as the third daughters of rich daughter family and spent her life in fear of being abandoned, involuntary work life shackled by Big Mother, meeting an adoptee and breaking fantasy while living abroad at the invitation of her sister, maladjustment of a black-haired husband, and suicide of husband and forming a new family were appeared. In terms of spatiality, the themes appeared as Cinderella’s prison, where dreams were reserved, a gloomy world as a lonely alien, family violence in a symbolic violence society, and exposure to violence of gaze. In terms of sociality, the themes of heteronomy using obedience as the rule’s of conduct in life, reservation of self-rights into solidified habit, self-returning of criticism, daughter as a purpose of life, not a daughter, and reconstruction of memory as co-victim and discovery of a path to revival were appear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discussed social prejudice and criticism experienced by the narrator, excessive guilt and shame, and harsh cultural violence against suicide survivors, especially female spouses and proposed a suggestion that support the recovery of suicide survivors and their lives in terms of counseling based on the discu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옥희,김명찬. (2023).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4), 263-279

MLA

김옥희,김명찬.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2023): 263-2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