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508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the Life of Female Suicide Surviv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옥희 김명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263~27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로서 연구를 통해 자살생존자의 삶을 이해하는 동시에 상담심리학에서 응용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방법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접근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설계, 연구 현장으로 들어가기, 연구 현장에서 텍스트 구성,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의 구성, 연구 텍스트로 작성하기 순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와 5회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텍스트를 구성하였고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시한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시간성, 공간성, 사회성)에서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시간성에서는 딸 부잣집의 셋째 딸로 태어나 버려짐에 대한 불안 속에서 보낸 유년 시절, 빅마더 엄마의 족쇄에 채어져 원하지 않는 직장 생활을 함, 여동생의 초청으로 외국 생활을 하던 중 입양아 출신의 남편을 만남과 환상의 깨어짐, 머리 검은 외국인 남편의 부적응, 남편의 자살과 새로운 가족 형성의 주제가 나타났다. 공간성에서는 꿈이 유보된 신데렐라의 감옥, 외톨이 이방인으로서의 우울한 세계, 상징폭력 사회 속에서의 가정폭력, 시선의 폭력에 노출됨으로 주제가 나타났다. 사회성에서는 순종을 처세훈으로 삼은 타율성, 습관으로 굳어진 자기 권리의 유보, 비난의 자기 환류, 딸이 아닌 삶의 목적으로서의 딸, 공동 피해자로서의 기억의 재구성과 소생의 통로 발견이라는 주제가 나타났다.
결론 연구자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내러티브 주인공이 경험한 사회적 편견과 비난, 과도한 죄책감과 수치심, 자살생존자 특히 여성 배우자에게 가해지는 가혹한 문화적 폭력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자살생존자들의 회복과 그들의 삶을 지지할 수 있는 상담학 차원에서의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ives of suicide survivors through research and to present practical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in counseling psychology.
Methods The researcher approached through a narrative inquiry method. Narrative inquir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research design, entering the research site, text composition at the research site, composition of the research text from the field text, and writing the research text. The text was constructed by conducting fiv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stori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i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space (time, spatiality, and sociality) presented by Clandinin and Connelly.
Results In terms of time, the themes of childhood when she was born as the third daughters of rich daughter family and spent her life in fear of being abandoned, involuntary work life shackled by Big Mother, meeting an adoptee and breaking fantasy while living abroad at the invitation of her sister, maladjustment of a black-haired husband, and suicide of husband and forming a new family were appeared. In terms of spatiality, the themes appeared as Cinderella’s prison, where dreams were reserved, a gloomy world as a lonely alien, family violence in a symbolic violence society, and exposure to violence of gaze. In terms of sociality, the themes of heteronomy using obedience as the rule’s of conduct in life, reservation of self-rights into solidified habit, self-returning of criticism, daughter as a purpose of life, not a daughter, and reconstruction of memory as co-victim and discovery of a path to revival were appear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discussed social prejudice and criticism experienced by the narrator, excessive guilt and shame, and harsh cultural violence against suicide survivors, especially female spouses and proposed a suggestion that support the recovery of suicide survivors and their lives in terms of counseling based on the discu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행복과 협동심의 종단적 상호관계
-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및 인식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프로그램 내용 특성 비교 분석
-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직선 및 수체계, 실수의 성질 의미와 관계에 대한 중학생의 오류와 그 오류 사이의 관계
-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사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 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 초등 도덕 교과서 삽화에 드러난 ‘성역할 및 성 형평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역사회간호학 교육이 학습동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 청각장애인의 읽기 이해력 관련 연구 동향
- 실생활 맥락의 조건 명제에서 보이는 고등학생의 추론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성장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인한 대학생의 피로, 우울, 삶의 질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선정과 교육방안 연구
- 중학생의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최신 개인정보 유출 사례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 자료 개발
-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우울의 관계
-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 초등교사 스키마니아 가족의 첫 번째 겨울나기
- 태권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여가활동 제약에 대한 탐색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 간 구조분석
- 아동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xplici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and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인터넷 시대 한국어 교재 연구에 대한 일고찰
-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 초등영어 CLIL 수업을 위한 비계 지원 전략
- 상담수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 미용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훈육, 신뢰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 연구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4호 목차
- 일터학습개념의 전문대학 적용사례 효과성 검토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